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blocking factor와 randomized blocks design

반찬이 2008. 7. 15. 09:15

blocking factor와 randomized blocks design을 비교하시오. (blocking variable, blocking design, randomized block design을 설명하시오.)

 

구획변인blocking factor(blocking variable)은 연구의 관심 대상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하나의 독립변인으로 간주되어 분석에 포함되는 변인을 말한다. 연구자의 관심사가 아니므로 독립변인이라 부르는 대신 구획변인이라고 부른다. 이 말은 처치할 때 쓰는 변인이라 하여 treatment variable이라고도 하고, 처치를 하지 않는 경우 성별처럼 유목으로 분류해서 그 차이를 보고자 할 때에는 classification variable이라고도 한다. blocking factor(blocking variable)는 독립변인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독립변인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독립변인의 수준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종속변인이 지적능력과 관련된 문제라면, 독립변인에 어떤 처치를 가함에 따라 성적도 달라질 수도 있지만, 독립변인에 속한 사람들의 지능에 따라 영향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지능집단을 상/중/하로 나눈다면, 이 자체가 blocking factor(blocking variable)이라고 할 수 있다.

blocking design은 구획변인이 포함된 실험설계를 말한다.

randomized blocks design(RBD)는 피험자들이 구획으로 분류되면, 각 구획내에 분류된 피험자들은 다른 요인의 수준들에 무선할당되는 것을 말하며 무선구획설계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섭취한 알콜의 양은 요인인데, 이것을 3개의 수준으로 나누면, 0.5g(1수준)/1.5g(2수준)/2.5g(3수준)식으로 무선으로 할당할 수 있다.

'statistics > 심리통계학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변인의 효과, 처치효과  (0) 2008.07.15
nested factors design과 crossed factors design  (0) 2008.07.15
point estimate vs interval estimate  (0) 2008.07.15
요인(factor)  (0) 2008.07.15
수준(level)  (0) 200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