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탐지이론 Q: 이 이론이 의사결정에 관한 이론이고, 무엇이 중요한지에 따라 다르게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의미인거죠? 어디까지 적기의 출현으로 볼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절대역의 기준점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의미인가요? A: 의사소통에 주안점이 있는 것은 아니고요, 감각과 지각의 면에 .. Q n A 2018.12.03
깊이 단서 1. 신호탐지이론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2. 단안 깊이 단서와 양안 깊이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질문의 범위가 꽤 넓네요. 1. 신호탐지이론은 제가 제공해 준 슬라이드 [감각과 지각] 첫번째 슬라이드 17번 슬라이드 노트(슬라이드 그림 밑에 종종 몇 군데에 글을 써 놓았습니다.)에 써 놓은 .. Q n A 2018.12.03
기억 1. 기억실패에서 기억 오귀인과 암시성이 헷갈려요. 2. 작업기억은 단기기억인가요 장기기억인가요?? 1. 기억 오귀인은 기억을 잘못 하는 것인데요, 기억의 출처가 어디서부터 잘못 되었는지... 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기억의 출발점부터가 잘못 되었다라는 이야기이지요. 180쪽에 나와 있.. Q n A 2018.12.03
활동전위 Q: 활동전위 부분에서 세포막에서 펑상시에는 K+ 이온은 세포 밖으로 이동하는데, 자극을 받으면 K+ 채널이 닫히고 과분극이 되고, Na+ 가 세포내로 들어와 감분극 상태가 되는 것가요? 그 사이에 활동전위가 생기는 것인가요? 알듯 말듯 정확하게 모르겠네요. 과분극, 감분극 등등의 표현들.. Q n A 2018.12.03
오정보효과와 역행간섭 Q: 오정보효과와 역행간섭이 헷갈려요. A: 답을 먼저 이야기하자면, 오정보 효과와 역행간섭은 유사합니다. 목격자 증언의 오류는 흔히 오정보 효과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먼저 사건을 목격하게 하고, 그 다음에 그 사건에 관한 오정보를 제공합니다. 그 후에 그.. Q n A 2018.12.03
인출단서와 점화 Q: 인출단서는 저장된 정보를 연합하고 마음속 정보를 가져오도록 도와주는 외적정보라고 나와있고 점화는 최근의 어떤자극에 노출된 결과로 어떤 자극이 더 잘 생각나게 만드는 능력을 말한다고 했는데 이 둘을 같은 것으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둘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건지 궁금합.. Q n A 2018.12.03
성실성 Q: 빅파이브중에서요. 성실성요소에 왜 조심성이포함되는지 잘이해가안가요. 조심성과 성실성이 무슨연관이있죠? A: 목표를 설정해서 그것을 향해 나아가는 목표지향적 모습을 갖기 위해(성실성) 신중하게 계획을 세워 나아가도록 해야겠지요. 조심성을 신중하게 접근하는 성격으로 이.. Q n A 2018.12.03
드러내기 규칙 Q: 드러내기 규칙중에 차폐와 중성화가 있는데, 이 두가지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포커카드게임을 할때 자신의 표정을 숨기는것은 중성화에 해당되는 예인가요? A: 차폐는 자신이 느끼는 정서를 다른 정서로 표현하는 것이고, 중성화는 마치 아무 정서를 느끼지 않는 것처럼 무표정한 .. Q n A 2018.12.03
양가애착유형과 불안정애착유형 불안정 애착유형 뜻이 양가 애착유형과 비슷한 것 같아서요. 같은 거 맞나요? 애착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고 있지요.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 그리고, 불안정 애착을 또 다시 불안정 회피애착과 불안정 저항애착으로 나누고 있지요. 여기서 불안정 저항애착은 엄마와 떨어질 때는 물론 .. Q n A 2018.12.03
이런 경우도 완벽주의 성향에서 오는 것인가요? Q: 이번 시간에 완벽주의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들에게는 자신의 삶을 잘 관리하고, 잘 하려는 부분이 있기에, 예기치 않는 갑작스런 상황에 처하게 되면 완벽한 답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움찔하거나 잠시의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그런 상황 자체를 힘들어 할 수도 있나요? 그리고 .. Q n A 2018.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