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교재 1A 준비3과 분석_있어요/없어요 -있어요, -없어요는 카드로 제시해 주면 좋다. 있어요/없어요를 정확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주세요'를 적당한 상황에서 노출하고 제시하면 대화 연습이 자연스럽다. 예를 들어, 교사가 학생의 핸드폰을 가리키며 물어본다. 교사: 휴대폰 있어요? 학생: 네. 있어요. 그러다가 갑자기 ..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
피동, 사동 국어에서 말하는 것을 듣고 오면 무슨 말인지 와 닿지 않는다. 한국어에서는 피부로 와 닿도록 그 의미를 바꿔서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것이 피동인데, -이, -히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피동같은 경우는 어휘로 제시해야 한다. 이걸 설명해서는 안된다. '열다/열리다'를 자유..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
숫자 가르치기 숫자는 가르치기가 쉽지 않다. 어휘와 문법 사이에 기수나 서수가 놓여 있으며, 시간 묻는 것은 더 힘들 수 있다. 초급은 단지 설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숫자는 이미 알고 있는 것(선수학습되어 있는 부분)부터 시작하면 좋다. 사물명칭 + 이에요/예..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
서강 한국어 1A 한글편. 분석 서강대학교 교재는 학습량이 적다. 기본적으로 학습자가 배워야 될 양이 적은 편이며,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학습이 참 빠른 것을 볼 수 있다. 한글1에서는 자음이 초성에서 한글2에서는 자음이 종성에서 발음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아' → '야'로 제시가 된다. ㄱ + ㅏ → 'ㄱ'을 카..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
쓰기 쓰기의 유형은 다양한데, 신문이나 보고서와 같은 사실에 기반을 두고서 보고서를 쓰기도 한다. 그 외에 칸 채우기, 노트, 목록 만들기, 일기 및 편지 쓰기, 텍스트 요약 등의 활동이 있다. Highlight upper intermediate (Vince, 1992) 교재(81쪽 참조)에서 추출한 다음의 내용을 보면, 이 교재는 쓰기 ..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
수업과 관련해서 한국어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교재를 보고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잘 보도록 해야 한다. 쓰기, 읽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한 과에 두 시간씩 가르치도록 하고, 4일이면 이 수업을 끝내야 한다. 그러면 4차시면 한 과가 지나간다. 교재를 볼 때에 각 과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아름다운 우리말/교재론 2016.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