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기억 이론: Baddeley’s theory
Baddeley & Hitch(1974)이 제안한 작업 기억의 구조
1) 중앙 집행기(Central Executive)
2) 음운 루프(phonological loop)
- 음운 저장소: 시각 정보를 말에 기초한 부호로 전환시켜 저장
- 조음 통제과정: 내적 되뇌기를 통제
3) 4가지 기본 현상
- 음운 유사성 효과 : 소리가 비슷한 항목들에 대한 기억이 빈약(PGTCD < RHXJW)
- 조음억제 효과: 시각적으로 제시된 항목들에 조음 억제를 하면 음운 유사성 효과가 사라짐
- 관련없는 말효과: 시각적 제시 후 회상 과제 수행시 관련없는 말을 들으면 과제 수행이 저조
(음운 저장소에 관련없는 말에 대한 정보가 들어감)
- 단어 길이 효과: 발음에 있어서 짧은 단어가 긴 단어보다 회상이 우수
4) 시공간 잡기장(visuo-spatial sketchpad)
- 시각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취급
- 이중해리: 시각적 특성 처리 Vs. 공간 조작 - Farah(1988)
4. 작업기억에 대한 반론들
1) 작업 기억의 네 가지 기본현상의 비일관성
- 부적 단어 길이 효과: 짧은 단어들의 보다 빈약한 회상
2 )네 가지 기본 현상간의 상호작용
- 각 현상간의 상호작용과 크기에 대한 설명이 부재
- 각 현상들을 독립적으로 설명한 결과..
3) 언어적인 모델에 불과 => 부정확, 불완전
- 이론의 구체성이 떨어짐
- 지나치게 단순한 모형
'theory >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ddeley의 작업기업모형 (0) | 2008.10.17 |
---|---|
인지심리학 2005 (0) | 2008.10.14 |
상호작용활성화 모형(IA)(McClelland & Rumelhart, 1981) (0) | 2008.09.30 |
Marr(1982)의 시지각 계산모형 (0) | 2008.09.30 |
초점주의 (Focused attention) (0) | 2008.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