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정신병리학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 Drug)

반찬이 2011. 3. 28. 15:07

1. Introduction

(1) 항정신병 약물 (=신경이완제) : 인지 작용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은 채 정신병적 증상들(환각, 망상, 괴이한 행동, 와해된 사고 등) 을 진정시킨다.

(2) 적응증 (psychotic Sx 이 있는 경우)

  ․정신분열병, 정신분열형 장애, 단기 반응성 정신병, 망상 장애, 급성 조증, 급만성 뇌증후군, 노인정신병

 ․정신병적 우울증, 불안상태, 급성 알콜중독 및 금단증상, Tourettes disorder, 충동성, 공격성 내지 파괴적 행동 

(3) 금기증

 ․serious allergic response history 있는 사람

 ․항정신병 약물과 상호작용하여 CNS 억제를 증가시킬 가능성 있는 약물복용자

 ․항콜린성 섬망이 가능한 사람

 ․seizure의 risk가 높은 사람

 ․narrow angle glaucoma 위험성 있는 사람

 ․임신 3개월 이내인 경우

 ․TD가 있거나 과거력이 있는 사람

2. 약리학

(1) 약동학

   약물효과는 복용한 지 30-60분 후(IM은 10분 후)에 나타나며 주로 간에서 대사.

(2) 약력학

․D2 receptor 차단

 ┌ mesolimbic-mesocortical pathway 차단 : 항정신병 효과

 ├ nigrostriatal pathway 차단 :  EPS 증상 유발          ┬ 부작용  

 └ tuberoinfundibular pathway 차단 : prolactin 증가 

․다른 pathway에 작용하는 약물(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 Clozapine : serotonin 수용체 차단이 주 작용

 └ Risperidone : D2, 5-HT 수용체 모두 차단

․Muscarinic cholinergic Rc 차단, 항히스타민, 항아드레날린성 작용 등 


3. 종류

(1)Low potency : Chlorpromazine, Thioridazine

    High potency : Haloperidol, Perphenazine, Trifluoperazine

sedation

hypotension

anticholinergic

seizure

EPS

Low potency

High potency

 

(2)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 : EPS 부작용이 없거나 적은 약물로 양성증상뿐 아니라 음성 증상에도 효과적임

① Clozapine

 ․D2 차단작용은 낮으며 5-HT, adrenergic α-receptor의 차단 작용이 강하다.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 뿐 아니라 음성증상에도 효과, prolactin을 증가시키지 않음,  EPS 거의 없음.

 ․부작용 : agranulocytosis (1-2%, 주기적인 혈액검사 필요), 경련 유발, 침흘림 등

② Risperidone

 ․Dopamine, serotonine receptor를 모두 차단함.

 ․부작용 : EPS 생길수 있음, prolactin 증가작용 강함, 기립성 저혈압, 과도한 진정작용.

③ Olanzapine

 ․Clozapine과 약리 작용 양상이 가장 유사, 무과립구증은 아직 보고되지 않음.

 ․부작용 : 졸리움,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dystonia, EPS 부작용은 Clozapine보다는   높고, risperidone보다는 낮다


 

4. 용법

(1) 약물의 선택 : 목표증상, 효과, 부작용의 특징 등을 고려해서 선택한다.

․격정과 불안, 긴장이 심한 환자 : 진정작용이 큰 약물 -> low potency

․정신운동저하가 심하고 망상, 환각 등 정신병적 증상 -> high potency

․체중증가가 심하거나 경련의 위험성 -> Molindone

․음성증상이 심한 환자 ->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 

(2) 효과 : 가장 먼저 진정 작용이 나타나고 항정신병 효과는 대개 6주 이내에 나타난다.

(3) 유지 요법

․목표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최소한 6개월 간 급성시의 치료용량보다 1/2 정도의 용량    으로 계속 치료

․재발 방지하고 지금까지의 치료효과를 유지

․Tardative dyskinesia를 막기 위해 가능한한 최소한의 용량만을 사용하는 게 원칙이다.


5. 부작용

(1) 진정작용

 ․가장 흔하고 먼저 나타남.

 ․H1 Rc 차단 때문

 ․대개 저 역가 약물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2) 항콜린성 부작용

 ․Muscarinic Rc 차단 효과 때문. 

 ․특징적 증상 : 입이 마르고, 동공 산대, 변비, urinary retention, 녹내장 악화 등

 ․치료 : 약물을 감량하거나, 다른 고역가 약물로 대치한다.

(3) 기립성 저혈압

 ․α-adrenergic Rc 차단 때문.

 ․저역가 약물에서 많고, 치료로 Norepinephrine을 사용한다..

(4) 내분비 장애 : prolactin 증가로 galactorrhea, 월경장애, 성욕감퇴, 남성의 유방비대

(5) EPS 증상

 ․기전 : Dopamine Rc 차단-> Ach. 증가

 ․고역가 약물에서 나타난다. (항콜린성 작용이 있는 저역가 약물에선 나타나지 않는다.)

 ․종류 : Parkinson SD, akathisia, acute dystonia

Parkinson 증후군

Akathisia

Acute dystonia

호발시기

치료 3-6주

투여초기

투여초기(대개4일째)

증상

Resting tremor

Rigidity

Akinesia

무표정한 얼굴, 침흘림 

불수의적인 좌불안 상태 (불안해하며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고 안절부절 못함)

목과 어깨등이 갑자기 뒤틀리는 사경(torticollis),

후굴성 사경(retrocollis), 안구운동발작(oculogyric crisis), 연하곤란

치료

항파킨슨 약물          -benzotropine        -trihexyphenidyl     -amantadine

약물 중단 혹은 감량

β-blocker

Benzodiazepine 계

Benzodiazepine

Anticholinergic

    (Benzotropine)

(6) 지연성 운동장애 (Tardive dyskinesia)

 ․가장 무서운 합병증으로 1년 이상 장기 투여시 10-20%에서 발생.

 ․비가역적 불수의적인 상동성 운동장애 증후군

 ․증상 : 계속 반복해서 볼을 부풀리거나, 혀를 내밀거나 핥는 것 같은 증상

 ․원인 : dopamine 수용체의 감수성 항진 때문(항파킨슨 약물을 쓰면 상태가 악화됨)

 ․Risk factor : 여자, 약물을 장기간 and high dose로 사용한 경우, 노인, Brain injury 의 Hx, mood disorder 등. -> 이 경우 TD에 가장 안전한 약물인 clozapi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방 : 최소한의 약물을 단기간 사용

          정규적인 검사 (AIM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치료 : 우선 약물을 중단하고 Lithium, carbamazepine, benzodiazepine 등을 투여


 

(7)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원인 : 중추 신경계의 dopamine 차단 (특이 체질적 반응으로 용량과 무관함)

 ․증상 : 고열(hypothalamus의 열 조절 중추의 이상), 근육강직, 발한, 무동증, 무언증, 섬망, 혼수 

 ․치료

    - 대증 요법 : 약물 중단, 수액공급, 체온 하강

    - 약물: 근육이완제(dantrolene sodium), CNS dopamine agonist(bromocriptine),

            Benzodiazep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