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인지심리학

전형성 효과와 원형

반찬이 2008. 12. 26. 11:09

원형 모형은 첫째, 개념은 속성 목록으로 표상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에 의해 표상된다고 본다. 특정 개념의 사례들을 경험한 후, 그 사례들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원형이 추상화(abstraction)되어 그 개념의 표상으로 저장된다는 것이다. 둘째, 원형 모형에서는 범주 경계가 모호하다고 본다. 가령 토마토는 과일일 수도 채소일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례가 그 범주에 속하는지의 판단은 서로 다 다를 수 있다. 셋째, 범주에 속한 사례들은 범주에 대한 대표성, 즉 전형성이 차등적인 등위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등위구조는 우리가 범주판단을 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개는 동물이다”와 같은 문장의 진위판단 과제에서 전형적인 사례의 진위를 덜 전형적인 사례보다 빨리 판단하는 전형성 효과를 보여준다. 전형성 효과(typicality effect)란, 동일 범주(예: 새)에 속하는 사례들이라 할지라도 보다 전형적인 사례(예: 참새)에 대한 그 범주 소속성 판단 속도가 전형적이지 않은 (예: 굴뚝새) 보다 더 빠르다는 현상이다. 카나리아를 새다라고 검증하기가 타조는 새다라고 검증하기보다도 쉽다는 말이다.

'theory >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태재인모형  (0) 2008.12.26
창조성의 장애 (고착, 기능적 고착)  (0) 2008.12.26
Bartlett(1932)의 기억 연구  (0) 2008.12.26
부호화 특수성  (0) 2008.12.26
HERA모형  (0) 200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