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nos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 DSM-Ⅳ
DSM-Ⅳ는 미국정신의학 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에서 출간된 것으로서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말 서양의학은 중세기보다 많은 진보를 보였는데, 질병이 다르면 치료방법도 달라져야 한다고 인식되면서 진단절차도 향상되었고, 각종질병도 분류되었으며 적용 가능한 여러 치료수단이 시행되었다. 새로운 진단절차가 의학분야에 기여한 바가 많았기 때문에 이에 이상행동분야도 영향을 받아 분류체계를 발전시키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19세기말뿐만 아니라 20세기에 들어와서도 이상행동의 분류방식에는 일관성이 상당히 부족했다. 19세기 말 무렵에는 전문가들 사이의 분류체계가 일치되지 않아 이상행동의 원인과 효율적인 치료법의 탐색작업이 더디게 되었다. 1882년에, 영국의 왕립의학심리학회 산하 통계위원회(Statistical Committee of the Royal Medico-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한가지 분류체계를 만들어 내고 그 후 여러 번의 수정에도 불구하고 이 분류체계는 산하 회원들이 사용하지 않았다.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정신과학협회(Congress of Mental Science)에서는 단일한 분류체계가 채택되었으나 이것도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1886년 미국에서는 미국정신의학협회의 전신(前身)인 미국정신이상자 연구소의 감독의사협회에서 영국의 분류체계를 다소 개정한 체계를 채택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자신들만의 고유의 분류체계를 사용할 것을 고집했기 때문에 분류체계의 일관성을 얻어내는데는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39년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망원인에 대한 국제적 목록에 정신장애를 추가했다. 그리고 1948년에 WHO는 기존의 목록을 확장시켜서 이상행동을 포함하여 모든 질병들에 대한 포괄적 분류목록인 질병, 상해 및 사망 원인에 대한 국제적 통계분류(International Sta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njuries, and Causes of Death)로 발전시켰다. 이 분류법이 WHO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지만, 정신장애에 관한 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미국정신과 의사들이 WHO의 분류작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는 독자적인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ic and Sta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을 1952년에 출간하였다. 그 후 1968년에 DSM-Ⅱ, 1980년에 광범위하게 개정된 DSM-Ⅲ, 그리고 1987년에 이를 약간 수정한 DSM-ⅢR을 출간하였다.
1988년 미국정신의학협회는 후속판인 DSM-Ⅳ의 작업을 위하여 정신과 의사인 Allrn France를 위원으로 하는 개발위원회를 발족시켰다. DSM-Ⅳ의 초안은 1993년에 임시 배포되었고, 1994년에는 마침내 최종본이 출간되었다.
II. DSM-Ⅳ의 분류체계
DSM-Ⅳ의 분류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다축 분류체계(multiaxial classification)라는 점이다. 즉, 개개인을 5개의 별개차원인 축에 평정한다. 다축 분류체계에서는 5개 축상(上)에서 각기 별도로 판단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진단전문가로 하여금 광범위한 정보를 고려하게끔 한다. Ⅰ축에는 Ⅱ축에 포함된 성격장애와 정신지체를 제외한 모든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Ⅰ,Ⅱ축에는 이상행동의 모든 범주가 수록되어 있다. Ⅰ축과 Ⅱ축을 구분한 것은 현재의 장애에만 주의를 기울이다가 만성적 장애가 간과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나머지 3개축은 실제로 진단을 내리는데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증상 이외의 다른 요인도 평가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합의점이 반영된 것이다.
축Ⅰ |
축Ⅱ |
축Ⅲ |
축Ⅳ |
-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에 흔히 처음 진단 되는 장애
-섬망,치매,그리고 기억상실장애 및 기타
인지장애
-물질관련장애
-정신분열증과 기타 정신증적 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신체형장애
-허위성장애
-해리성장애
-성장애 및 성정체감 장애
-섭식장애
-수면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은 충동조절장애
-적응장애
|
정신지체
성격장애
|
전반적 신체상태 |
심리사회적 문제와 주변 환경문제
확인대상(구체적으로):
-일차적 지지집단과의 문제
-사회적 환경과 관련된 문제
-교육관련 문제
-직장에서의 문제
-주거환경상의 문제
-재정적 문제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렵게 하는 문제
-사법/범죄관련 문제
-기타 심리사회문제와 주변 여건의 문제
| 표1-1 DSM-Ⅳ의 다축분류체계
축Ⅴ 전반적 기능 평가 척도 |
정신 건강/질환의 가상적 연속선 상에서 심리적,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을 고려할 것.
단 신체적(또는 환경적)제한점 때문에 발생하는 기능의 손상은 배제한다. |
100-90
|
․ 전반적인 활동에서 최우수 기능, 생활의 문제를 잘 통제하고 있고 개인의 많은 긍정적인 특질로 인하여 타인의 모범이 되고 있음. 증상 없음. |
90-81
|
․증상이 없거나 약간의 증상이 있음. 모든 영역에서 잘 기능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고 흥미를 느 끼고 있음. 사회적인 효율성이 있고, 대체로 생활에 만족, 일상의 문제나 관심사이상의 심각한 문제 는 없음 |
80-71
|
․만약 증상이 있다면 일시적이거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예상 가능한 반응임. 사회적, 직업적, 학교 기능에서 약간의 손상정도 이상은 아님 |
70-61 |
․가벼운 몇몇 증상 또는 사회적, 직업적, 학교 기능에서 약간의 어려움이 있음. 그러나 일반적인 기 능은 꽤 잘 되는 편이며, 의미있는 대인관계에 약간의 문제 있음 |
60-51 |
․중간정도의 증상 또는 사회적, 직업적, 학교 기능에서 중간정도의 어려움이 있음 |
50-41 |
․심각한 증상또는 사회적 사회, 직장, 학교에서 중간 정도의 곤란이 있음 |
40-31 |
․현실검증력과 의사소통에서의 장애또는 일이나 학교, 가족관계, 판단, 사고, 정서 등 여러 방면에서 주요 손상이 있음 |
30-21 |
․망상과 환각에 의하여 심각하게 영향받는 행동, 또는 의사소통과 판단에 있어서 심각한 손상,지리멸 렬,전반적으로 부적절하게 행동하기, 자살에의 몰입이 있거나 또는 전 영역에서 기능할 수 없음 |
20-11 |
․자신이나 타인을 해칠 약간의 위험이 또는 최소한의 개인의 위생을 유지하는데 실패, 또는 의사 소 통의 광범위한 손상이 있음 |
10-1 |
․자신이나 타인을 심각하게 해칠 지속적인 위험, 또는 최소한의 개인 위생을 계속 유지하지 못함. 또는 죽음을 명확히 기대하고 저지르는 심각한 자살행위가 있음 |
0 |
․정보가 불충분함 | III. 진단 범주 DSM-Ⅳ에서는 진단하고 있는 심리장애를 크게 16 가지 등으로 구분 함. (1) 유아기,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 이 범주에는 통상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지적, 정서적 및 신체적 장애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자폐장애(autistic disorder) 같은 전반적 발달장애와 말하기, 읽기, 산수계산, 글씨 쓰기 기술의 습득이 지연된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가 이 범주에 해당한다.
(2)물질 관련 장애
알콜, 아편, 코카인, 암페타민 등 다양한 물질을 복용한 결과 사회적 또는 직장에서의 기능이 손상될 정도로 행동이 변한 것이다. 물질 사용 장애자는 물질의 복용을 조절하거나 끊을 수 없게 되기 쉬우며, 물질의 사용을 중단하면 금단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기분장애나 불안장애 같은 축 Ⅰ상의 다른 장애를 유발시키거나 부분적 원인이 될 수 있다.
(3)정신분열증 schizophrenic disorder
정신분열증 환자는 현실접촉이 상실되어버린 상태이다. 환자는 언어구사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장애가 있어서, 대화시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넘어가는 방식이 보통 사람들과 달라서 이들의 말을 알아듣기가 힘든 경우가 있다. 흔히 망상도 있어서 자기 생각이 아닌 다른 생각이 자기의 머리에 자리잡고 있다고 믿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환각에 시달리는데, 특히 자기 몸 밖에서 나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환자의 정서는 둔하고, 단조롭고, 또는 부적절하며, 사회관계와 직업수행능력은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이다.
(4)기분장애 mood disorder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v disorder) 환자는 슬픔이 깊고 의기소침해 있을뿐만 아니라, 체중저하 및 기운부족 상태를 호소하고, 자살생각과 자책감을 갖고 있기 쉽다.
조증환자(mania)는 극도로 기분이 좋고, 평상시보다 활동적이고, 주의가 산만하며, 비현실적으로 팽배한 자존심으로 가득 차 있다.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는 조증의 일화를 겪거나 조증 및 우울증의 일화를 모두 겪는 사람에게 붙여지는 진단명칭이다.
(5)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불안장애는 어떤 유형의 비합리적이거나 지나칠 정도의 두려움이 핵심 장애이다.
공포증(phobia) 환자는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너무 무서워하여, 그 무서움이 합당한 이유가 없고 불합리한 것으로서 자신의 생활에 지장을 가져온 것을 스스로 알면서도, 그 대상을 회피하지 않을 수 없다.
공황장애(panic disorder)는 강력한 미지의 불안을 갑작스럽게 단기간 동안 호소하며, 이 두려움이 너무나 심한 나머지 환자는 몸을 떨고 흔들며, 어지럽고, 숨막히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공황장애는 환자가 친숙한 환경에서 벗어나는 것을 두려워 할 경우 광장공포증이 수반된 것으로 진단된다.
일반화된 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에서는 두려움과 불안이 전반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신경과민 상태에 있어서 목이 메이거나 심장이 두근거리는 수도 있다.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환자는 강박관념이나 강박행동에 시달리기 쉽다. 환자는 강박관념을 조절할 수가 없다. 그리고 강박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시도하면 너무나 큰 긴장을 겪게 되어 환자는 강박행동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만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는 통상적인 인간의 경험영역을 벗어나는 외상적 사건의 후유증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불안과 무감각증세를 지칭하는 진단명이다. 이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은 낮에는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이 엄습해오고 밤에는 악몽을 꾼다.이들은 주의를 집중하기 어려우며 다른사람 및 일상적인 일에 대해 거리감을 느낀다.
급성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사하지만 증상의 지속 기간이 보다 짧다.
(6)신체형장애 somatoform disirder
신체형 장애에서 호소되는 신체적 증상은 생리학적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지만 심리적 목적을 갖고 있는 것을 여겨진다.
신체화 장애(somatization disorder)또는 Briquet증후군을 갖고 있는 사람은 오랫동안 여러 가지 신체 증상 때문에 약을 먹거나 의사를 찾아다닌 경력을 갖고 있다.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환자는 마비 무감각, 또는 눈이 안보이는 것 같이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이 상실되었다고 호소한다.
동통 장애(pain disorder)를 가진 환자들은 심한 만성적 통증으로 고생한다.
건강 염려증(hypochondriasis)은 사소한 신체적 감각을 중병으로 착각하고 있는 장애이다.
신체 기형 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환자는 자신의 외모에 결함이 있다는 상상에 사로잡힌다.
(7)해리장애 dissociation disorder
심리적 해리는 기억과 정제감에 영향을 주는 갑작스런 의식의 변화를 말한다.
심인성건망증(psychogrnic ammesia)을 갖고 있는 사람은 자기의 과거를 전부 잊어버리거나 특정한 기간 동안의 기억만을 망각한다.
심인성 둔주(psychogenic fugue)를 갖고 있는 사람은 예기치 못하게 갑자기 새로운 장소로 옮겨가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며, 자신이 과거에 누구였는지는 잊어버리고 있다.
해리 정체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는 뚜렷이 구분되는 두 개 이상의 성격이 있는데, 성격이 번갈아가면서 환자의 의식을 지배한다.
이인성 장애(depersonalization disorder)는 자기소외감이나 비현실감이 심하여 생활상의 지장을 가져다 줄 경우에 해당된다.
(8)성장애 및 성정체감 장애 sexul disorder
성장애는 세 가지 하위범주가 있다.
성도착증(paraphilias)은 성적 만족을 얻는 방법이 노출증, 관음증, 가학증, 그리고 피가학증같이 보통 사람들과 다르다.
참고자료출처; yahoo,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http://kr.blog.yahoo.com/aries21usa/4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