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Vol. 63, No. 2, Summer 2007
왕으로써 존엄한 아기His majesty the baby: 개인심리학으로 본 자기애
Michael P. Maniacci
(발표자: 나)
Abstract
저자는 Adlerian의 관점으로 자기애와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살펴보았다. Adlerian의 개념인 열등감, 과잉보상, 우월감 complex, 격려, 수직적 운동, 생활양식, 남성적 저항을 가지고서 자기애의 일반적 유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Millon과 Davis(1996)의 최근 이론을 강조하였다.
“His majesty the baby” 이 말은 narcissist가 어떤 사람인지를 묘사하는 Freud(1914/1957)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용어와 이를 진단하는 변인은 해를 넘기면서 많은 정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DSM 최근 판은 자기애성 인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NPD)라고 불리는 것이 무엇인지 연구/정의하기 위한 주요 텍스트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essay에서는 주로 Adlerian의 관점에서 NPD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NPD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Beck, Freeman과 그의 동료들(1990)은 자기애의 인지 행동적 관점에서 보고자 하였다. Benjamin(1996)은 대인관계적 관점, 현상학적 관점, 목적론적 관점으로 보려고 하였다. Fromm(1947)은 비록 후반부에는 다른 결론을 내 놓기는 했지만, May(1981)와 같이 자기애의 프로이드 이론을 논의하고, 실존적인 비평을 내놓았다. Horney(1937), Kohut(1971)과 최근 Gabbard(2000)는 자기심리학적 견해를 보였다. Oldham과 Morris(1990)는 정신병리학적인 관점과 자신감 스타일로써의 자기애 관점 두 가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아마도 대다수 NPD에 대한 이해는 Milon과 Davis(1996)의 생물사회적인 관점에서부터 왔고, 그들은 성격유형으로써 표현된 4가지 변화 -줏대없는 자기애자, 호색적 자기애자, 보상적인 자기애자, 엘리트적인 자기애자- 를 가진 NPD 성격구조의 “egotistic pattern” 에 대해서 논의했다.
Adlerian 관점은 그 이전부터 논의되어왔다. Ansbacher(1985)는 자기애의 개념에 대한 Adler의 역사적 중요성을 논문으로 펴 냈다. Sperry(1995), Sperry와 Ansbacher(1996), Sperry와 Mosak (1996)은 나르시즘에 대해 살펴볼 현재의 일을 보다 새롭게 만들었다. 나는(1996) 이 논문에서 전형적 초기회상과 관련된 임상적 예를 제시함으로 이 작업을 확립하였다.
NPD: An Adlerian Hisorical Perspective
1910년에 프로이드와 아들러 사이에 논의된 중요한 부분은 -특히 정신병리학의 관점에서- 인간발달에 있어 ego의 역할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고 Ansbacher(1985)는 말한다. Freud(1914/ 1957)는 narcissistic은 인간발달에 있어 normal part라는 기본입장을 취해왔다. 모든 유아들은 narcissistic적이다. Libido는 내성적directed inward이다. 양육자와 유아사이의 관계는 통상적으로 유아돌봄infant taking과 양육자의 받음caretaker giving이 함께 있어서 보다 기생적parasitic이다. Adler(1912/2002, 1978)는 이에 강하게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정확히 반대의견을 주장하였다. 그는 유아와 양육자는 공생적이라고 믿었다. 사회적 관계는 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아이와 양육자 돌봄에 함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어떤 사람이 한때 과거 유아기시절에 병리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드에게 있어 NPD는 퇴행regression, 세상과 관련된 1차적인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었다. Adler는 인간들은 항상 사회적 창조물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에 1차적 나르시즘primary narcissism은 없다. NPD는 내성화directed inward된 libido를 가진 유아기적인 상태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그것은 타인을 배제한 시도라고 보았으며 절대 normal이 아닌 것으로 보았다.
Mosak과 Maniacci(1999)는 1980년대 중반에 한 연구에서 아들러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Stern(1985)또한 그의 책 제목을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이라고 지음으로써 아들러의 입장을 지지하는 연구를 보여주었다. 어떻게 사람들이 삶을 시작하는지에 narcissism이 그에 대한 것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사회적 유대는 최소한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되고 전 생애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이어진다.
NPD: An Overview
NPD는 하나의 장애다. 그래서, narcissism적인 성향을 가진 개인은 자기 웅대함grandiose, 타인을 부러워하고, 착취적인 대인관계, 경탄에 대한 소망, 공감부족, 타인시기와 같은 감각을 가지고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이러한 패턴은 늦은 청소년기에나 초기 성인기에 생기며, 몇몇의 서로 다른 맥락에서 보여주어야만 한다. 이는 기능적인 것을 방해해야만 한다.
Millon과 Davis(1996)는 NPD가 현재의 문화에서 진단되는 것이 다르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성공, 성취, 자신감은 때때로 보상되기도 하며, 경탄하는 어떤 것으로서 잡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정적인 요인은 이러한 가치를 극단적으로 가진 NPD 성향의 개인이다. NPD 성향의 개인은 이러한 가치 수행에 있어 너무나도 경직되어 있다. 이러한 가치수행에 있어 너무 유연하지 못하기 때문에 NPD 성향을 가진 사람은 행복하고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타인의 능력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NPD 성향의 사람은 그것이 적합하지 않고 용납되지 않을 때에도 이러한 가치들을 보일 것이다.
An Adlerian Interpretation
Mosak(1977)은 정신병리학에서 중심이 되는 주제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더 나아가 최근에 Mosak과 Maniacci(2006)은 기분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를 이해하는데 있어 이러한 체계를 적용하였다. NPD와 함께 발생하는 두 가지 중심적인 주제가 있다. 각각의 주제는 각 주제의 통합이전에 몇몇 세밀하게 논의될 것이며 거기에서 나온 결과들이 탐색되었다. 대부분 NPD 성향을 가진 개인에게서 보여지는 두 가지의 유형은 “person-who- needs-to-be-superior"과 ”baby"이다.
person-who-needs-to-be-superior
Adler(Ansbacher & Ansbacher, 1956), Mosak(1977), Mosak과 Maniacci(1999), Pew(1976)은 개인의 생활양식에 있어 우월감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월감이 필요한 사람은 때때로 아들러가 언급한 우월감 콤플렉스superiority complex가 보여진다. 많은 사람들은 우월해지고 싶어하나 우월성 갈구superiority striving안에 사회적 관심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Adler, 1964). 사람들은 타인과 함께 하거나, 타인과 싸우면서 우월성을 찾는다. 반면, 우월성을 선호하면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우월성은 경직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우월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 이상self-ideal에 대한 진술문은 다음과 같다. “In order to have a place, I must be superior all the time.”(Mosak & Maniacci, 1999) 이러한 경직성은 때로는 상식을 넘어서기도 한다. 사실 우월한 것보다 해법을 요구하는 상황이 너무도 많이 있다. 그들이 가진 경직성 때문에 이러한 사람은 문제가 생기게 된다.
우월감이 문제가 될 때, 몇 가지 일이 발생된다. 이러한 사람들은 삶을 수직적으로 바라다본다(Sicher, 1991). 그들은 타인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 유리한 위치에서 타인을 바라다본다. 만일 그들이 top에 있지 않다면, 그들은 매우 불쾌하게 느낀다. 타인은 그들 주위에서 무력함을 느낄 수 있다. 우월감을 얻지 못하게 될 때, 그들은 타인을 비난하고, 공격하고 비판한다. 그들이 비록 잘못되었을지라도 타인은 자기보다 더 잘못되었다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삶에 대한 목적없이 지내는 것을 싫어하고 때때로 힘들게/오래 일한다. 성공은 그러한 사람에게 있어 모든 것이기에, 만일 그들 자신이 실패하는 사람으로써 인식된다면 무엇이든 쉽게 이루려 하고cut corners, 타인을 속이거나 심지어 상처까지 주려고 한다. 성공은 단지 어떤 것이 아니다. 성공은 모든 것이다.It is everything. 그들은 지나치게 자신의 외모에 관심을 쓰기 때문에 옷을 잘 입거나 최고로 자신 몸의 청결상태를 유지해서 밖으로 보이는 외모를 관리한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의 내적 건강, 정서적 건강, 신체적 건강은 종종 무시한다. 그들은 걱정되는 일을 성취하기 위해 너무 바쁘며, 그들은 특별spescial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수면,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 아무것도 그들에게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The baby
Mosak(1977)은 자신이 “baby”라고 부른 유형에 대해서 논의했고, Mosak과 Maniacci(1999)는 더 세밀하게 이 유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아기들은 더 먼저 태어난 출생순위 유형에 그다지 혼란을 겪지는 않는다. 반면, 많은 아기들은 가족 배치에서 가장 어리기 때문에, 출생순위 위치에서 “baby”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 유형에 주목한다. Millon과 Davis(1996)는 NPD가 가장 늦게 태어난 아이들보다 먼저 일찍 태어난 아이들에게서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아기들은 자신의 삶에서 두 가지의 일차적 야심을 가지고 있다. 바로 play와 support이다. 아기들이 갖고 있는 자기 이상self-ideal 진술문(Mosak & Maniacci, 1999)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In order to belong, I should have fun, be myself no matter what, and be taken care of whenever I demand it.” 그들은 타인이 그들에게 주는 것과 자신들의 방법으로 얻는 것을 과대평가하는 우두머리 조종자들이다. 얻는 사람들getters과는 다르게(Mosak, 1977)아기들은 단순히 얻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타인과 놀고play, 재미fun 갖기를 원한다. 그들은 제일 먼저 편안함comfort을 찾고(Pew, 1976), 즐거운 것entertain과 즐겁게 될 수 있는 것을 본다. 삶이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으며 바쁜 조건에서 그들은 사람들에게 친구들 중 최고가 될 수 있다. 지루함은 그들에게 있어 재앙이며, 사람들이 자신들을 돌봐주어야 한다고 느끼며 “I bored”라는 말은 “Take care of me!”말이 된다(Dreikurs, 1948). 게으름, 건망증과 심지어 수정불가능성(교정불능, incorrigibility)은 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술이다. 그들의 느낌은 자신들에게 있어 너무나도 중요하기 때문에 상황의 요구에 반드시 응하지 않아서 아기들은 때때로 너무나 자기지향적inner-directed이다. 그들은 자신의 정서적 요구에 따라 자신의 삶을 이끌어나가기에 문제를 일으킨다. 반면에 평상시에 적응을 잘한다는 말은 내적요구와 외적 요구사이에 균형이 맞아있다는 것을 말하지만, 지시적인 생활양식과 상황의 현실에서 아기들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 소망에 너무나도 초점을 잘 맞춘다. 이렇게 상황의 요구에 이들은 자신들의 우위를override 지키려 한다. “Because I feel like it” 이 말은 그들이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 하나의 이유가 되며, 상식없이 이러한 것이 이루어졌을 때, 이러한 생각은 문제problems로 이끌고 나간다. 짜증tantrums은 문제해결 전략으로써 보여지는데,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의 느낌이 너무나도 가깝게 따라오기 때문이고, 두 번째 이유는 달걀껍질 위를 걸어가듯 타인에게 겁주기 위해서이다(Dreikurs).
The individual with NPD: His Majesty the Baby
Freud(1914/1957)는 NPD 성향이 있는 개인은 응석받이나 버릇없는 아이처럼 행동한다고 보았다. Adler(1912/2002)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정신병리학 입장에서 논의되었고, Dreikurs(1948)는 때때로 부모와 함께 하는 작업을 강조하였다. 앞서 언급된 두 가지 유형을 사용하여 자기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superiority”와 “baby”가 같은 사람 안에서 함께 나타나 보였을 때, Oldham과 Morris(1990)는 자신감self-confidence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자신감self-confidence을 가진 사람은 두각을 나타낸다. 그들은 리더이고, 밝게 빛나는 불빛이며, 공적인 자리나 사적인 자리에서 주의를 끌어모은다. 그들은 자기존중, 자긍심, 자기확신의 스타로써 태어난다. 이러한 자기self라는 단어는 그 사람의 신념으로써 나타나고, 그 사람의 self-styled된 목적을 위임한다. 이러한 스타일이 표시된 야심과 결부된 마술적인 자기존중은 가치없는 꿈들을 현실적인 성취로 바꾸어낸다(p.79).
자신감으로부터 변형되어 표현되는 NPD는 미묘하지만, 중요하지는 않다. 세상에서 발견되는 그들의 낙담은 너무나도 크다. 그들의 개인적인 논리(Ansbacher & Ansbacher, 1956; Mosak & Maniacci, 1999)는 더욱 더 완고해지고, 경직되어 유연성을 잃어버린다. 사회적 관심의 정도는 유의미하게 작아진다.
NPD 성향의 개인은 “superiority”와 “baby” 유형의 결합이다. 그들은 주목받는 것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주의받기를 원하며 세상의 top이 되기를 원한다. 그들은 세상에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격을 받으며 때로 자신들의 방식으로 무언가를 얻지 못하면 짜증이라는 기질을 가지고서 화가나서 날뛰기도 한다. Millon과 Davis(1996)에 따르면 자기애성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아름다운 아이이며 가족 안에서 독자이거나 첫째일 가능성이 크고, 의미있는 타인과 가까운 사람들에 의해 아첨을 받는다. 더 나아가 Millon과 Davis은 NPD 성향을 지닌 개인이 남성들 중에 시종일관 대다수를 차지한다고 본다. Adler(1978; Ansbacher, 1985)는 남성적 저항masculine protest으로써 가능한 설명을 제공한다. 때로 그들은 남성이 가지고 있는 우월성을 동등하게 생각하고 이는 때때로 특별한 면제와 수고에 자격을 부여하는 것으로 강화된다.
Millon과 Davis(1996)는 NPD 성향을 보이는 개인의 네 가지 유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각각은 Adlerian 관점에서 설명될 것이다.
방종한unprincipled narcissist들은 규칙을 깨뜨리고, 위험으로 뛰어든다. 반사회성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와는 달리 자기애성 성향자들은 이렇게 행동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자신의 자유를 시험하고, 삶의 규칙을 넘어서는 바램 때문이다. 이들은 자신이 얼마나 특별한지를 보여주려고 한다. 그들은 위험하게 속도를 내고, 자기 맘대로 하며cut corners, 정해진 선 위로 뛰어올라가려 한다. 그들은 삶의 규칙이 다른 사람들에게나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고, 자기네들은 예외라고 믿는다. Sicher(1991)는 그들이 용기있는 것을 원하지 않고 오직 영웅이 되는 것을 원한다고 지적하였다. 용기가 있다는 것은 열등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칙을 잘 지켰을 때 용기가 보여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Sicher는 언급한다. 그녀에게 있어 용기는 작은 것일 뿐이지 사회적 계약이 손상되지 않는 삶의 일상 생활안에서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영웅적 행위heroism는 다르다. 그것은 거의 드물고 어떤 때는 거의 요구되지도 않는다. 그것은 눈에 띄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 일어나고 극도의 용감성과 대담성이 필요하다. Sicher가 미국으로 갔었을 때, 그녀는 많은 사람들이 영웅을 원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미국인들의 용기있는 행동은 별로 보여지지 않았다. 이는 방종한 narcissist들에게 무엇이 일어나는가에 관한 것이다. 그들은 “superiority”와 “baby” 유형중에서 baby 유형에 더 가깝고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아기들이 어떤 것을 요구할 때 그들은 지금 당장 그것이 필요로 한 것이며 세상은 그들을 위해 멈추어야 한다. 그들의 정서는 전체 세상의 요구들이다.
바람기 있는amorous narcissist들은 erotic과 유혹적인seductive 행동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거의 “Don Juan” 스타일이다. 그들은 성적인 애정획득이나 성적인 정복을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찾는다. 그들이 일부일처monogamy제에 정착하게 되면 거의 그런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그들이 외관상으로 그러한 행동을 할 때, 그들이 얼마나 특별한지를 인용함으로써 자기자신을 정당화한다. 남자가 이러한 패턴을 보였을 때, 그들은 종종 Adler(1978)가 이야기했던 남성적 저항이라 불리는 모습을 보인다. 남성적 저항은 왜 그들이 많은 파트너를 가져야하는지 생물학적인 “남성 본성male nature”과 자신들의 남성다움을 인용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파트너를 잘 다루지 못한다. 마치 전리품처럼 자신들의 파트너를 다룬다. 그들의 파트너들은 초라하게 다루어지고, 때로 학대당하고 무시된다. 이러한 유형으로서 “superior babies”는 종종 그들의 파트너를 장난감 노리개로써 본다.
보상적인 compensatory narcissist들은 가장 깊은 열등감을 과잉보상하려 하는 고전적인 Adlerian의 예이다(Mosak & Maniacci, 1999). 그들의 불안정함과 개인적 약함이 그들 자신을 다루며 자신이 할 수 있어 바라는 것이 얼마나 큰지 타인에게 증명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의 우월감을 드러낸다. 그들은 자기 자신을 거의 믿지 않으며 갈구하기 위해 보다 강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만일 노골적인 학대가 아니라면 그리고, 그들을 드러내 보이기로(i.e., 학대받은 어떤 사람) 결정했다면 그들은 종종 자신의 background를 무시함으로써 Adler (Ansbacher & Ansbacher, 1956)가 원인을 돌렸던 것처럼 그 같은 일을 종종 경험한다. NPD 성향이 있는 개인은 우월감이 열쇠이다. 그들은 가끔씩이지만 잘 드러내지 않는다. 그들의 baby스타일은 상당히 무시받지만, 그들은 아직 여전히 그대로 있다. 이는 불에 덴 아이들이 마치 깊은 상처를 갖고 있는 것과 같으며 그들은 얻기위해 맹세한 것과 같다. Dreikurs(1948)는 소속감을 못 느끼고 낙담하게 될 때, 그 도구로써 복수를 찾게 되고 품행을 나쁘게 하는 목표를 가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NPD 성향을 가진 개인은 절대 모든 세상을 소유한 것처럼 유년기의 역동을 넘어서려하지 않는다.
엘리트적인elitist narcissist들은 자기 자신이 신문 스크랩하는 사람으로 정말로 믿고 있다. 그들은 Adler(Ansbacher & Ansbacher, 1956; Mosak & Maniacci, 1999)가 이야기한 대로 superiority complex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종종 아이들과 같이 우월감을 가지고 있고, 세상이 그들을 잊어버리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다. 지위와 자기 촉진은 그들에게 아주 중요하며 그들은 top을 얻고자 노력하며 그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NPD의 전체 유형들은 더 많이 논의되었는데, 그 내용들은 대단히 사회적으로 부적당하다. 그들은 자신이 너무 특별하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적 사회적 관습들이 자신들에게 적용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고 믿고 있다. 그들은 무례하며, 부적절한 옷을 입고 있으며, 타인에게 엄청난 공격을 가하고서는 그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단순하게 행동한다. 그들은 자신이 타인과 다른 부류라고 믿고 있다. 그들은 지구상에서 사람들에게 조그마한 관심도 가지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이 남 앞에 나설 수 있도록 만들어주고, 자신을 깨끗이 해 주는 충성스러운 관리인의 관점으로 자신의 사회적 부적절함을 만들어갈 때, baby type의 몇몇 요소가 있는 우월한 유형을 향하여 아주 무거운 짐을 싣는다. 이 자기애 유형의 많은 배우자들은 개인적 도움을 주는 전문적인 “managers” 역할, 즉, press officers, image consultants을 수행하게 된다.
TreatmentL A General Overview
NPD 성향을 지닌 개인들은 정신분석에서 어렵게 다뤄진다. Maniacci(1996)와 Sperry(1995)는 이러한 개인의 정신분석치료는 연속적으로 다루어져 진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성격의 복구는 어렵기에 대부분 NPD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스타일 때문에 도움을 청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의 스타일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어려움 때문에 오히려 더 도움을 청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스타일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자신이 가진 상처에 대해서만 돈을 지불하게 된다. 자기애에서부터 자신감(Oldham & Morris, 1990)까지 그들을 움직이는 것은 아마도 대단히 이유있는 목적이 되었다.
우월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결점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기에 심리치료사가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 보이는 것은 쓸모없는 일이다. 그들은 사례 공식화의 타당성을 고려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임상장면에서 자신의 진짜 상담문제들을 드러내지 않고서는 상담자를 보고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을 가리켜 기초적인 실수나 참견하는 것(Mosak & Maniacci, 1999), 인지적 왜곡(Beck et al., 1990)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우월성을 추구하는 사람은 단지 우월할 뿐, 그들에게 필요 없는 것처럼 인식되는 진실 따위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baby들은 만일 누군가가 자신을 위한 책임과 의무를 수행하려한다면, “My sister made me do it!” “You're wrong. It's your fault I hit you!”하며 그들의 결함을 따질 것이다. “superiority”와 “baby” 유형 두 가지를 다 같이 보인다면, 이 때가 치료의 시작단계이다.
NPD의 나쁜 품행을 가진 사람을 만드는 타인에 대한 전제아래 치료자가 작업을 해 나가려 한다면, NPD 성향의 사람들를 치료장면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봐봐! 나는 네가 미쳐 가는 걸 알고 있어. 그리고, 나는 너를 비난하지 않아. 만일 사람들이 너와 같은 상황이었다면, 많은 사람들도 미쳤을 거야. 그러나, 치러야 할 댓가는 무엇일까? 나는 네가 고통을 겪고, 안 좋은 것을 볼까 걱정된다. 너의 평판과 너를 그렇게 만든 것이 무엇인지 봐봐! 너는 어떤 종류의 것 위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
이와 같은 장면은 NPD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바와 같이 NPD 성향을 가진 개인과 약속을 할 것이지만, 많은 작업을 하지 않는 한 그 같은 태도는 가족치료나 부부치료에서 유지하기는 매우 어렵다.
만일 심리치료사가 NPD 성향의 사람의 역할을 하거나role-play, 모임에서 치료가 포함된다면, 서로 역할을 바꿔보는 것이 도움을 줄 수 있다(Millon & Davis, 1996). 이탈은 NPD 성향자의 조롱처럼 보일 수 있으며 그것은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개념적 전이perceptual shifting(Mosak & Maniacci, 1998), 만일 조심스럽게만 할 수 있다면 NPD 성향을 가진 사람이 다양한 관점에서부터 사물을 보게 해 주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 만일 NPD 성향을 가진 사람이 다양한 상황에서의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도록 격려받는다면 공감을 위한 기초가 놓여진다. 이로써 치료의 주요한 점이 이루어진다.
분노의 시합이 따르는 치료과정에서 그 다음의 내담자의 훼방과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직면을 NPD 성향을 가진 사람이 할 수 있도록 심리치료사들은 용인해야만 한다. Kohut (1971)은 강력하면서도 어떤 때는 순수하게 깜짝 놀라게도 하는 사람들에 의해 보여지는 자기애적 분노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심리치료사들은 NPD 성향을 가진 사람이 효과적 위치에서 자기경탄self-respect(Benjamin, 1996)의 울타리를 지키면서 유지하는 것이 아닌 (넘나들 수 있도록) 관용을 보이면서 이러한 개인들을 다룬다. 이는 어려운 일이나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이러한 것이 보여진 이후에, NPD 성향을 가진 개인은 치료를 떠날 수도 있으며, 치료장면을 깨부수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은 심리치료사에 대한 많은 신뢰를 잃어버리게 되거나 심리치료사가 자기를 위한 많은 경탄을 주지 않았다고 느낀다면 그들은 돌아올 것이다.
마지막으로 임상학자들은 환자가 필요하다. NPD 성향을 가진 개인은 많은 이유에 도전을 하지만, 가장 중요하게 기억해야 할 것은 NPD 성향을 명확하게 하고 성격장애를 가진 개인들을 일반화시키는 것이다. 그들이 가진 사적인 논리는 의미있는 타인significant others과 가족에 의해 상식의 범주 안에서 고려된다(Carlson, Watts, & Maniacci, 2006). NPD 성향을 가진 개인은 격려받으며, 자신의 길에서 자신이 있어야 할 곳을 찾는 작업이 계속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스타일의 요소가 무엇인지 성인기에 찾는 것은 사실 그들 자신을 위한 작업이다. 변화를 위한 동기가 도움이 된다. 치료자로부터의 많은 압력과 빨리빨리 해야 되는 것은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Summary
NPD는 모든 이에게 도전이 되는 장애이다. DSM-Ⅳ-TR(Ameria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은 이 장애를 묘사하고자 하였지만,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 논문에서 나는 왜 그 장애가 일어나고 그렇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Adlerian의 관점에서 두 가지 유형이 서로 결합된다. 그것은 supoerior와 baby의 유형이 요구된다. 두 가지 유형중 유리한 것에 따라 서로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 NPD로 이끄는 기본적인 신념을 아는 것은 치료계획 설정에 도움이 되고 치료를 촉진시켜 준다. 덧붙여서 Adlerian의 overcompensaton, vertical movement, pampering, neglect, masculine protest, birth order, social interest, courage 개념은 NPD 성향의 개인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도움을 준다.
'theory > 정신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해리성 둔주 (0) | 2010.06.02 |
---|---|
[스크랩] 정신분열증 화가의 고양이그림 (0) | 2010.05.26 |
Diagnos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th edition) (0) | 2010.05.22 |
Psychological Disorders (0) | 2010.03.30 |
disease of Koro, Amok (0) | 2009.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