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학습심리학

학습심리학 용어 정리

반찬이 2010. 10. 7. 22:17

제1장 서설: 변화를 학습하기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한 종의 생존에 기여하는 특성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특성은 사라지는 경향

돌연변이(Mutation): 유전자에 일어나는 어떤 변화. 생식 세포 내에 변경된 유전자가 생기면 이 돌연변이가 그 자손에게 유전된다.

반사(Reflex): 특정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단순하고 불수의적 반응 사이의 관계.

민감화(Sensitization): 어떤 반사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에 과거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그 반응의 강도나 확률이 증가하는 것.

둔감화(Habituation): 반사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그 반사 반응의 강도 또는 확률이 감소하는 것.

고정행위패턴(fixed action pattern: FAP): 대개 어떤 특정한 자극(방출인)에 의해 유발되는, 서로 연관된 일련의 선천적 행위들. 예전에는 본능이라고 불림.

방출인(Releaser): 고정행위패턴을 확실하게 유발하는 모든 자극.

일반적 행동 특질(general behavior traits): 유전자에 강하게 영향 받는 일반적인 행동 경향성 ex)내향성, 전반적인 불안

혐오자극: 유기체가 기를 쓰고 피하려는 것들로서, 흔히 고통스럽거나 불유쾌한 것.

학습(learning): 경험으로 인한 행동의 변화

 

제2장 학습과 행동의 연구

행동(behavior): 사람이나 동물이 하는, 측정할 수 있는 모든 것. 실제로는 이 용어는 공공연하게 측정 가능한 외현적 행동을 가리킨다. 그러나 그것을 하고 있는 오직 그 람에게만 가용한 행동(예컨대, 사고)도 신뢰롭게 측정될 수만 있다면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자극(stimuli):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혹은 미칠 수 있는 사건.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한 용어를 측정하기 위한 조작(절차)을 명시함으로써 그 용어를 정의하는 것.

누가기록기(cumulative recorder): 특정한 반응이 일어날 때마다 이를 기록하는 기구(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이를 통해 누가기록이 만들어진다.

누가기록: 행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으로서, 각 점은 그 행동이 그 시점까지 수행된 총 횟수를 나타낸다. 행동이 일어나지 않으면, 종이에 가로로 직선만이 그어진다. 행동이 일어나면 펜이 종이 위에서 세로로 짧게 움직인다. 행동률이 높을수록 펜이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기울기가 더 가파른 선이 그려지고, 행동률이 낮을수록 기울기가 더 완만한 선이 그려진다.

일화적 증거(anecdotal evidence): 개인 자신의 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보고 또는 타인의 경험에 대한 보고.

사례연구(case studies): 하나의 사례를 자세하게 연구하고 기술하는 것.

기술연구(descriptive studies): 한 집단의 구성원들로부터 자료를 구함으로써 그 집단을 기술하려는 연구

실험(experiment): 하나 이상의 독립 변인이 하나 이상의 종속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설계.

독립변인(independent variable): 실험에서, 연구자가 통제하는 변인. 독립변인은 대개 종속변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종속변인(dependent variable): 실험의 결과가 측정되는 변인. 이것은 독립변인에 따라 변화할(독립변인에 종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피험자 간 설계(between-subject design): 독립변인을 둘 이상의 피험자 집단들 사이에 변화시키는 실험설계. 처리 간 또는 집단 간 실험 이라고도 불린다.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 피험자 간 실험에서, 독립변인에 노출되는 피험자들.

통제집단(control group): 피험자 간 실험에서, 독립변인에 노출되지 않는 피험자들

대응표집(matched sampling): 실험 집단의 피험자와 통제 집단의 피험자간의 외생적(실험자의 통제를 벗어난)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피험자들을 연령, 성별 및 체중과 같은 정해진 특성에 따라 대응시키는 것.

피험자 내 설계(within-subject design): 독립변인이 동일한 피험자에 대하여 상이한 시각에 달라지는 연구 설계. (따라서 각 피험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역할을 모두 한다.) 단일 피험자 또는 단일 사례 실험이라고도 불린다.

기저선기간(baseline period): 피험자 내 실험에서 연구 대상인 행동을 수정하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는 관찰기간(대개 A라고 표시)

외생변인(extraneous variable): 실험조작과 동시에 우연히 발생하는 변인.

ABA 역전 설계(ABA reversal design): 피험자 내 실험의 일종으로 실험 조작 전(A)과 후(B-실험조건)에 행동을 관찰한다. 원래 조건(A)이 다시 복구되고 나서 실험조건(B)이 다시 뒤따를 때도 있다.

현장실험(field experiment): 자연환경에서 행해지는 실험.

 

제3장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무조건 반사(unconditional reflexes): 특정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단순하고 불수의적 반응 사이의 관계. 무조건 반사는 무조건 자극과 무조건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선천적, 영구적인 반사.

조건 반사(conditional reflexes): 파블로프식 조건 형성을 통해 습득된 반사로서 조건 자극과 조건반응으로 구성된다.

무조건 자극(US; unconditional stimulus): 무조건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

무조건 반응(UR; unconditional response): 무조건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반응

조건자극(CS; conditional stimulus):조건 반사의 자극 부분. 조건 반응을 유발한다.

조건반응(CR; conditional response):조전 반사의 반응 부분. 조건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파블로프식 조건형성(Pavlovian conditioning): 중성자극(CS)을 US와 짝짓는 절차.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반응적 조건형성(respondent conditioning)

고순위 조건형성(higher-order conditioning): 자극이 US와 짝지어지는 대신 잘 확립된 CS와 짝지어지는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검사 시행(test trial):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서 학습이 일어났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때때로 US없이 CS를 제시하는 절차.(Rescorla 검사시행)

의사조건형성(pseudo-conditioning): US가 반사 반응을 일으킨 후에 중성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그 중성 자극이 CR을 일으키는 경향. 민감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어떤 자극에 의한 반응이 CR인가, 민감화의 결과인가 라는 해석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런 경우에 검사 시행으로 문제를 극복한다.

흔적 조건형성(trace conditioning): US가 제시되기 전에 CS가 시작되어서 끝난다.

지연 조건형성(delayed conditioning): CS가 US이전에 시작되어서 US와 중복되게 된다.

동시 조건형성(simultaneous conditioning): CS와 US가 시간적으로 같이 일어난다.

역향 조건형성(backward conditioning): US가 CS에 선행한다.

수반성(contingency): 사건들 사이의 의존성. 한 사건은 자극 수반적(한 자극의 출현에 의존적)일 수도 있고 반응 수반적(한 행동의 출현에 의존적)일 수도 있다.

근접성(contiguity): 사건들이 시간적으로(시간적 근접성) 혹은 공간적으로(공간적 근접성) 가까운 것.

복합자극(compound stimulus):두 개 이상의 자극이 동시에, CS로 제시되는 것.

뒤덮기(overshadowing): 음영화. 한 복합 자극의 일부인 어떤 자극이 CS가 되지 못하는 것. 이 때 자극이 CS가 되는 다른 자극에 의해 뒤덮였다고 말한다. 자극의 강도 때문이다. 강한 자극이 약한 자극을 뒤덮어 버린 것이다.

잠재적 억제(latent inhibition): 과거에 US가 없을 때 CS가 제시 된 결과 CR이 나타나지 못하게 되는 것. 자극의 사전 경험 여부 때문이다.

차폐(blocking): 어떤 자극이 효과적인 CS를 포함하는 복합자극의 일부가 될 경우 CS가 되지 못하는 것. 그 효과적인 CS가 새로운 CS의 형성을 차폐 시킨다고 말한다. 복합 자극의 일부를 사전에 경험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감각 사전조견형성(sensory preconditioning): 두 개의 중성자극이 먼저 짝지어진 다음, 그 중 하나가 US와 반복적으로 짝지어지는 절차. 그리고 나서 US와 짝지어지지 않았던 다른 자극이 단독으로 제시되면 이 자극도 CR을 일으킬 수 있다.

시행간 간격(inter-trial interval): 불연속 시행 절차에서 시행과 시행을 분리하는 시간간격.

소거(extinction): US없이 CS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절차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학습된 행동이 소거된 다음에 갑자기 다시 나타나는 것.

자극대체이론(Stimulus Substitution Theory): CS가 US를 대체한다는 이론. CR이 본질적으로 UR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준비반응이론(Preparatory Response Theory): CR은 유기체로 하여금 US가 일어나는 것에 대해 준비되게 한다고 제안한다.

 

제4장 파블로프식 학습의 응용

조건 정서반응(conditioned emotional reponses): 한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으로서, 파블로프식 조건 형성을 통해 습득된 것.

역조건형성(counter-conditioning): 이전의 조건 형성(원치 않았던 조건 형성)의 효과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사용하는 것.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환경에 대한 고도로 현실적인 전자공학적 모사로 창조된 현실.

조건억압(conditioned suppression): 혐오적 CS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진행 중이던 행동의 비율이 감소되는 현상

혐오치료(aversion therapy):역조건 형성의 일종으로서, CS가 혐오적 자극(예. 구토를 일으키는 약물)과 짝지어진다.

조건 맛 혐오(conditioned taste aversion):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통해 습득되는, 특정한 맛을 가진 물질에 대한 혐오.

단일시행학습(one-trial learning)

조건면역억압(conditioned immuno-suppression): 면역계의 억압을 일으키는 CS가 형성되는 것

조건면역촉진(conditioned immuno-facilitation): 면역계의 촉진을 일으키는 CS가 형성되는 것

제5장 조작적 강화

비상 심리학(supernormal psychology)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행동은 그 결과의 함수라는 진술. 어떤 행동의 강도는 그것이 과거에 환경에 미친 효과에 좌우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이 법칙에 함축되어 있는 개념은 조작적 학습이 능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효과를 직접적으로든 접적으로든 만들어내는 것은 대개 유기체의 행동이기 때문이다.

조작적 학습(operant learning): 어떤 행동이 그 결과에 따라 더 강해지거나 약해지게 만드는 절차.

도구적 학습(instrumental learning)

강화(reinforcement): 어떤 행동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절차로서 그 행동의 확률을 증가 또는 유지시킨다.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 행동 다음에 어떤 자극의 제시 또는 그 자극 강도의 증가가 뒤따르는 강화 절차.

정적강화물(positive reinforcer): 어떤 행동에 뒤따라 주어질 때 그 행동의 강도를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자극.

보상훈련(reward training): 정적 강화에 사용되는 강화물들이 일반적으로 보상적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성공, 칭찬, 돈 등)이기 때문에 정적강화는 보상훈련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보상이라는 용어에는 문제가 있다.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 어떤 행동의 다음에 자극의 제거 또는 자극 강도의 감소가 뒤따르는 강화 절차.

부적강화물(negative reinforcer): 어떤 행동 이후에 제거될 때 그 행동의 강도를 증가 또는 유지시키는 자극.

도피훈련(escape training): 부적강화훈련에서 행동을 강화하는 것은 혐오자극으로부터 도피이므로 이 절차를 도피 훈련이라고도 부른다.

불연속시행절차(discrete trial procedure): 어떤 행동의 수행이 한 시행의 종료를 의미하는 조작적 훈련절차.

자유조작적절차(free operant procedure): 어떤 행동이 그 횟수의 제한 없이 반복될 수 있는 조작적 훈련 절차.

일차강화물(primary reinforcer): 다른 강화물에 의존하여 그 강화적 속성을 얻게 되는 것이 아닌 강화물. 자연적, 선천적으로 강화적인 것.

이차강화물(secondary reinforcer): 다른 강화물과의 연합을 통해 강화적 속성을 지니게 된 자극.

조건강화물(conditioned reinforcer): 이차강화물. 다른 강화물과 짝지어짐으로서 강화력을 획득하기 때문에 이차강화물을 조건강화물이라고도 부른다.

일반강화물(generalized reinforcer): 여러 상이한 강화물들과 짝지어진 이차 강화물. 광범위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조성(shaping): 원하는 행동에 근접해 갈수록 이를 계속해서 강화하는 조작적 학습 절차.

행동연쇄(behavior chain): 서로 순서대로 연결된 행동.

연쇄짓기(chaining): 행동의 연쇄를 확립시키는 절차. 행동연쇄를 수행하도록 훈련시키는 절차.

과제분석(task analysis): 행동 연쇄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는 절차.

전향 연쇄짓기(forward chaining): 연쇄짓기의 한 절차로서, 그 연쇄 속의 첫 번째 고리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이어지는 고리들을 훈련시키는 방법.

후향 연쇄짓기(backward chaining): 연쇄 상의 맨 마지막 고리부터 훈련시키기 시작하여 그 앞의 고리들로 역순으로 나아가는 연쇄짓기 절차.

소거(extinction): 어떤 행동을 유지시키는 강화물을 제시하지 않는 절차.

소거 격발(extinction burst): 소거의 초기 단계에서 반응율이 갑자기 증가하는 것.

복귀(resurgence): 과거에 강화를 받았던 반응이 소거 시에 다시 출현하는 것.

추동(drives): Hull의 강화이론에서 박탈기간으로 야기된 정서 상태. (예. 음식의 박탈→ 배고픔)

추동감소이론(drive-reduction theory): 강화물의 효과의 원인을 추동의 감소에서 찾는 강화이론.

Premack의 원리(Premack Principle): 확률이 높은 행동이 확률이 낮은 행동을 강화한다는 원리.

반응박탈이론(response deprivation theory)

도피-회피 학습(escape-avoidance learning): 피험자가 혐오자극으로부터 도피하는 것을 먼저 학습하고 난 다음에 그것을 회피하는 것을 학습하게 되는 부적 강화의 한 형태.

2과정 이론(two-process theory): 회피와 처벌에는 두 가지 과정, 즉 파블로프식 학습과 조작적 학습이 관여한다는 이론,

sidman 회피절차(sidman avoidance procedure): 혐오자극에 규칙적으로 선행하는 자극이 없는 도피-회피 훈련절차. 신호없는 회피(Un-signaled avoidance)라고도 불린다.

1과정 이론(one-process theory): 회피와 처벌에 오직 한 과정, 즉 조작적 학습만이 관여한다는 이론.

 

 

 

 

 

 

 

제6장 조작적 절차: 처벌

처벌(punishment): 어떤 행동에 대해 그 행동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제공하는 절차.

처벌물(punisher): 어떤 행동의 결과로서, 그 행동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

정적처벌(positive punishment): 행동에 뒤따라 자극이 제시되거나 그 자극의 강도가 증가하는 처벌 절차. ‘제1유형 처벌’이라고도 불린다.

부적처벌(negative punishment): 어떤 행동 다음에 자극의 제거 또는 자극 강도의 감소가 뒤따르는 처벌 절차. ‘제2유형 처벌’ 또는 ‘벌금훈련’이라고도 불린다.

벌금훈련(penalty training)

반응방지(response prevention): 원치 않는 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환경을 변경시키는 절차.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어떤 종류의 행동은 체계적으로 강화를 하고 다른 것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 조작적 훈련절차.

저율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 DRL):

어떤 행동이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횟수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에만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무반응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zero reponding, DRO):

어떤 행동이 일정 기간 동안 전혀 일어나지 않는 데에 수반하여 강화가 주어지는 차별강화의 일종. 그 기간 동안 다른 행동들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므로 타 행동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라고도 불린다.

상반행동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DRI):

원치 않는 행동에 상반되는 반응이 체계적으로 강화를 받는 강화계획의 한 형태.

대안행동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alternative behavior, DRA):

원치 않는 행동과는 다른 행동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차별강화의 일종.

이 절차는 강화물을 획득하는 대안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비수반적 강화(non-contingent reinforcement, NCR): 행동과는 독립적으로 강화물을 제공하는 절차.

 

제7장 조작적 학습의 활용

미신행동(superstitious behavior): 우발적인 강화로 인해 일어나는 행동 강도의 증가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피할 수 없는 혐오자극에 노출된 이후로 혐오자극으로부터 도피하지 못하게 되는 것.

제8장 대리적 조건화

대리학습(vicarious learning): 한 유기체가 다른 유기체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학습하는 절차.

모방일반화(generalized imitation): 모방 행동이 강화를 받지 못하더라도 어떤 관찰된 행동을 모방하는 행동.

주의과정(attentional process): 대리 학습에 대한 Bandura의 이론에서 모델의 행동 및 그 결과에 유관한 측면을 관찰하는데에 도움 되는, 관찰자가 하는 행동.

파지과정(retentional process): 대리 학습에 대한 Bandura의 이론에서 모방될 행동의 회상을 돕는, 관찰자가 하는 행동.

운동재현과정(motor reproductive process): 대리 학습에 대한 Bandura의 이론에서 모방된 행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

동기과정(motivational process): 대리 학습에 대한 Bandura의 이론에서 모방된 행동이 강화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

참가자 모델링(participant modeling): 훈련자가 어떤 행동을 먼저 모방하고 나서 관찰자가 그것을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절차.

 

제9장 일반화, 변별, 그리고 자극통제

일반화(generalization): 학습된 반응이, 훈련 도중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자극에 대해 일어나는 경향

변별(discrimination): 어떤 행동이 특정 자극이 존재할 때에는 일어나지만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일어나지 않는 경향 (cf. 일반화)

일반화 기울기(generalization gradient): 일반화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의미 일반화(semantic generalization): 자극의 물리적 속성이 아니라 추상적 속성에 근거한 일반화

변별훈련(discrimination training): 변별을 확립시키기 위한 절차.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은 한 자극(CS+)을 US와 함께, 다른 자극(CS-)을 US없이 단독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조작적 변별훈련은 어떤 행동이 한 자극( )이 존재할 때 일어나면 강화하지만 다른 자극( )이 존재할 때에 일어나면 강화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된다.

( ): 이 자극이 존재할 때 특정 반응이 일어나면 강화가 주어짐을 나타낸다.

( ): 이 자극이 존재할 때 특정 반응이 일어나면 강화가 주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변별자극(discriminative stimulus): 조작적 학습에서, 어떤 행동이 강화를 받을 것임을 신호하는 자극( ) 또는 강화를 받지 못할 것임을 신호하는 자극( )을 모두 가리킨다.

연속변별훈련(successive discrimination training): 가 임의의 순서로 하나씩 제시되는 변별훈련 절차

동시변별훈련(simultaneous discrimination training): 가 동시에 제시되는 변별훈련

표본대응(matching to sample; MTS): 변별훈련의 일종으로서, 둘 이상의 비교자극들 중에서 표본과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할 일이다.

이질대응(oddity matching), 오대응(mismatching): 표본 대응의 한 변형으로서, 표본과는 다른 비교 자극을 선택할 때 강화가 주어진다.

무오류 변별훈련(errorless discrimination training): 가 아주 약한 형태로 도입되어 서서히 증강되는 변별훈련의 한 형태. 그 결과 일반적으로 전혀 혹은 거의 오류가 없이 변별이 이루어진다. 이를 개발한 사람의 이름의 따 Terrace 절차라고도 불린다.

차별적 결과 효과(differential outcomes effect; DOE): 상이한 행동들이 상이한 결과물들을 산출할 때 변별 훈련이 더 신속하게 진행된다는 발견.

자극통제(stimulus control): 어떤 행동이 의 존재 하에서는 일어나지만 의 존재 하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현상

흥분성 기울기(excitatory gradient): 일반화와 변별에 대한 Spence의 이론에서, 혹은 CS+ 및 그것과 유사한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의 증가를 보여주는 일반화 기울기.

억제성 기울기(inhibitory gradient): 혹은 CS- 및 이들과 유사한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 일반화 기울기.

정점 이동(peak shift): 변별 훈련 이후에 일반화 기울기에서 반응의 정점이 CS- 혹은 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

개념(concept): 그 구성원이 하나 이상의 정의적 특징들을 공유하는 유목

실험신경증(experimental neurosis): 변별훈련 같은 실험절차를 통해 야기되는 괴이한 또는 신경증과 유사한 행동.

 

제10장 강화계획

강화계획(Schedule of reinforcement):어떤 행동에 따르는 강화물을 어떤 방식으로 제시할지를 기술하는 규칙

계획효과(Schedule effect): 특정 강화계획으로 인한 독특한 반응 비율과 반응 패턴.

연속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CRF): 어떤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간헐적 강화계획(intermittent schedule): 행동이 가끔씩 강화 받는 강화계획.

고정비율 계획(fixed radio schedule; FR): 어떤 행동의 매 n번째 수행이 강화 받는 강화계획.

강화 후 휴지(post-reinforcement pauses): 강화를 받은 다음에 반응을 하지 않고 쉬는 것으로 주로 FI 계획 및 FR 계획과 관련된다.

실행속도(실행률, run rate): 강화를 받은 후 일단 행동이 재개되고 나서 그 행동이 수행되는 속도.

변동비율 계획(variable radio schedule; VR): 어떤 행동의 평균 매 n번째 수행이 강화를 받는 강화 계획

고정간격 계획(fixed interval schedule; FI): 마지막 강화 후 일정한 시간 간격이 지나고 나서 일어나는 첫 번째 행동이 강화를 받는 강화계획

변동간격 계획(variable interval schedule; VI): 마지막 강화 후 어떤 시간 간격(특정한 평균을 중심으로 변화하는)이 지나고 나서 일어나는 첫 번째 행동이 강화를 받는 강화계획.

고정기간 계획(fixed duration schedule; FD): 일정한 기간 동안 행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때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변동기간 계획(variable duration schedule; VD): 어느 기간(평균을 중심으로 변화하는)동안 행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때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저율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 DRL):

어떤 행동이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횟수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에만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고율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 DRH):

정해진 기간 동안 어떤 행동이 최소한 일정한 횟수만큼 일어나야만 그 행동이 강화를 받는 차별강화의 한 형태

고정시간계획(fixed time schedule; FT): 강화가 행동과는 독립적으로 고정된 시간간격으로 주어지는 강화계획

변동시간 계획(variable time schedule; VT): 유기체의 행동과는 독립적으로, 변화하는 시간 간격을 두고 강화가 주어지는 강화계획

비율 늘이기(stretching the radio): 강화를 위해 요구되는 반응 횟수를 서서히 증가시키는 절차.

비율 긴장(radio strain): 강화 비율을 너무 급격히 혹은 너무 길게 늘여서 반응의 패턴이 붕괴되는 것.

부분강화 효과(partial reinforcement effect; PRE): 어떤 행동이 연속 강화를 받았을 때보다 부분 강화를 받았을 때 소거에 더 저항적인 경향

변별 가설(discrimination hypothesis): PRE가 일어나는 이유는 연속강화와 소거를 구분하는 것보다 간헐적 강화와 소거를 구분하기가 더 힘들기 때문이라는 이론.

좌절가설(frustration hypothesis): PRE가 왜 일어나는가에 대한 이론으로서, 무강화는 좌절을 일으키며 간헐적 강화 동안 좌절이 반응에 대한 가 된다는 설명 .

순서 가설(sequential hypothesis): 간헐적 강화 동안 강화 받은 행동과 강화 받지 못한 행동의 연속적 순서가 소거 시에 반응에 대한 가 되기 때문에 PRE가 일어난다는 이론.

반응단위 가설(response unit hypothesis): PRE가 간헐적 강화와 연속 강화 시의 행동의 정의상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는 이론.

다중계획(multiple schedule): 둘 이상의 단순 강화계획이 교대되는 복합 강화 계획. 각 계획은 특정 자극과 연관되어 있다.

혼합계획(mixed schedule): 특정 자극과 연관되지 않은 둘 이상의 강화계획이 교대되는 복합 강화계획

연쇄계획(chain schedule): 일련의 단순 강화계획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강화계획. 각각의 단순 강화 계획이 시행중임을 나타내는 특정 자극이 있으며, 마지막 강화계획까지 완결되어야만 강화가 주어진다.

직렬계획(tandem schedule): 일련의 단순 계획들로 이루어진 복합 강화 계획으로서, 그 중 마지막 계획이 완료되어야만 강화가 주어진다. 각 단순 계획들은 상이한 자극들과 연관되지 않는다.

협동계획(cooperative schedule): 강화가 둘 이상의 개체들의 행동에 수반적으로 주어지는 복합 강화계획

병립계획(또는 동시계획, concurrent schedule):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단순 계획이 가용한 복잡한 강화계획

대응법칙(또는 조합법칙, matching law): 두 개 이상의 강화계획 상에서 반응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각 계획에 따른 반응률이 각 계획에서 가용한 강화에 대응한다는 법칙.

실험경제학(experimental economics): 경제학 원리를 연구하는 데 강화계획을 사용하는 것.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꾀병(malingering)

 

제11장 망각

망각(forgetting): 학습된 행동을 수행할 기회가 결핍된 뒤 생겨나는 그 행동의 퇴화

파지간격(retention interval): 훈련과 망각에 대한 검사 사이의 시간간격

자유회상(free recall): 학습된 행동을 수행할 기회를 줌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촉구회상(prompted recall): 단서 회상(cued recall). 어떤 행동을 수행해야 할지에 대한 힌트(촉구자극)를 제시하여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재학습법(relearning method): 한 행동을 파지기간 이전과 이후에 어떤 기준까지 학습시킴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절약법이라고도 불린다.

절약법(saving method):

재인(recognition): 피험자에게 과거에 경험했던 자극을 가려낼 것을 요구함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지연 표본대응(delayed matching to sample; DMTS): 표본이 제시되고 나서 파지 기간 후에 그 표본에 대응되는 자극을 선택할 기회가 주어지는, 망각을 검사하는 방법.

소거법(extinction method): 파지 기간 후의 소거율을 훈련 직후의 소거율과 비교함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기울기 붕괴(gradient degradation): 파지 기간 이전과 이후에 어떤 행동에 대하여 그 일반화를 검사함으로써 망각을 측정하는 방법.

과학습(over-learning): 한 번의 오류 수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시점을 넘어서까지 훈련을 계속하는 것.

순행간섭(proactive interference):현재의 행동 이전에 일어난 학습으로 인한 망각

쌍대연합학습(paired associate learning): 단어나 다른 자극들의 쌍으로 구성된 학습 과제. 피험자에게 각 쌍의 첫 번째 항목을 제시하고 두 번째 항목을 제시하고 두 번째 항목을 말하게 한다.

역행간섭(retroactive interference): 현재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행동 이후에 일어난 학습에 의해 초래되는 망각

단서-의존적 망각(cue-dependent forgetting): 훈련 시에 존재했던 단서들의 부재로 인한 망각.

기억술(mnemonic): 회상을 돕는 모든 기법.

기억술 체계(mnemonic system): 장소법과 걸이 단어 체계를 비롯한, 회상을 돕는 여러 가지 체계들

장소법(method of loci): 나중에 기억해야 할 항목들을 산책길과 같은 가상적인 장면 속에 있는 특이한 지점들에 갖다놓는 기억술 체계

걸이 단어 체계(peg word system): 1부터 시작하여 n 개의 정수가 특정한 이미지 (즉 ‘걸이’)와 연합되는 기억술 체계로서, 회상해야 할 각 항목을 그 걸이에 ‘걸어둔다.’

상기(reminiscence): 파지 간격 후에 기억 수행이 향상되는 것.

상태 의존적 학습(state-dependent learning): 특정한 생리적 상태(예컨대 알코올에 취했을 때) 동안에 일어나서는 그 상태가 지나가면 상실되는 학습

유창성(fluency): 분 당 일어나는 정확 반응의 수로 학습을 측정하는 방법.

 

제12장 학습의 한계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s): 유기체의 발달 도중 특정 종류의 행동을 습득할 가능성이 특별히 높은 시기.

각인(imprinting): 일부 동물, 특히 새들이 출생 후 처음으로 보는 움직이는 대상(보통은 자기의 어미이지만 반드시 어미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을 따르는 경향.

향본능 표류(instinctive drift): 행동이 고정행위 패턴으로 흘러가는 경향.

신호추적(sign tracking): ‘유기체가 무엇을 하는가?’와는 관계없이 자극 뒤에 강화물이 따르는 절차. 이 절차는 흔히 강화 없이도 어떤 행동의 ‘조성’을 초래한다.

준비성(preparedness): 어떤 학습 상황에 처한 유기체는 그 학습을 하도록 유전적으로 준비되어 있거나(이런 경우에는 학습이 빨리 얼어난다.), 준비되어 있지 않거나(이 경우에는 학습이 꾸준하지만 천천히 진행된다.), 그 학습을 하지 않도록 준비되어 있는(이 경우에는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이 느리고 불규칙정이다.) 것

준비성 연속선(continuum of preparedness): 유기체가 어떤 것들은 학습하고 다른 것들은 학습하지 않는 경향이 유전적으로 만들어져 있다는 생각.

'theory > 학습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와 조건형성  (0) 2010.10.07
성도착증과 학습심리학  (0) 2010.10.07
[스크랩] 놀이영상  (0) 2010.09.23
LEARNING  (0) 2010.03.30
Practice Questions  (0) 201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