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심리평가

[스크랩] 문장완성검사(SCT)

반찬이 2012. 3. 29. 14:38

문장완성검사(SCT)의 이해와 적용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


Ⅰ. 문장완성검사(SCT)의 정의 및 특징
1. 문장완성검사(SCT)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 이해
1) 문장완성검사(SCT)의 정의 및 개요
모든 투사적 검사는 사실상 어떤 형태이건 피검자의 주관적 경험에 의해 ‘완성’시켜야
할 모호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기 마련이다. 로르샤하 검사와 주제통각검사(TAT)가 모호한
형태의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투사를 유도한다면,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는 미완성된 언어(문장)를 제공하는 형태의 검사라고 할 수 있다.
문장완성검사는 투사적 검사 중에서도 가장 간편하면서도 매우 유용한 검사 중 하나이
다. 검사의 종류에 따라 문항수가 다르지만 대개 수행시간은 20∼30분 정도이며 자기보고
식 검사이기 때문에 혼자서 수행할 수 있고 집단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검사 시작 시
검사자는 “머릿속에 처음 떠오른 생각으로 뒤 문장을 가능하면 빨리 완성하십시오.” 라는
간단한 지시문만 제시하고, 피검자는 몇 개의 단어로 시작하는 불완전한 문장이 적혀 있는
용지를 받아 그 문장들의 뒷부분을 이어서 채우면 되므로 실시가 간편하다.
구체적 문장완성 검사의 종류에 따라 내용은 다르지만 앞부분에 미리 제시된 불완전한
문장은 대체로 피검자 내면의 동기와 갈등,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정서적 태도, 그의 가치
관 등이 투사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 있다. 검사의 목적이 어떤 특정한 감정이나 태도
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이라면 그 목적에 맞는 문항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대부
분의 문장완성검사는 성인용의 경우 4∼15가지 주제를 담고 40∼100 문항 정도로 구성되
며 아동용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되는 것은 3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역사적 배경
문장완성검사는 Galton에 의해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 test)이 연구되면서 발달되
었다. W. Wundt와 J. M. Cattell은 이를 단어연상법(word association test)으로 발전시켰
으며, Kraepelin과 Jung은 임상적 연구를 통해 문장완성검사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그 후
D. Rapaport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에 의해 단어연상법이 투사법으로서의 성격진단의 유효
한 방법으로 확립되면서 단어연상법은 문장완성법으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문장완성검사를 현재와 같은 방식의 성격검사로 처음 사용한 것은 Payne (1928)이며
이후 는 문장완성 검사를 성격영역에서 Tendler(1930) 활용하며 사고반응과 정서반응의 진
단을 구별하였다. 그는 정서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는 정서반응을 직접유발 시키면서 자
유로운 반응이 허용되고 피검자의 판단이나 선택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는데, 문장
완성검사가 이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검사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Cameron(1938)은
언어와 사고의 형식적 측면을 탐색하기 위해 이 검사를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Rohde(1946)는 청년기 문제를 다루거나 내담자의 욕구, 내적 갈등, 환상, 감정, 태
도, 야망, 적응상의 어려움 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할 때 문장완성검사가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미완성 문장은 인식하거나 표현할 수 없는, 또는 표현하기 꺼려지는 잠
재된 욕구, 감정, 태도, 야망 등이 보다 잘 드러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는 문장완성
검사의 경우, 본질적으로 자유연상을 이용한 투사법 검사이기 때문에 자기의 대답이 갖는
의미를 예상할 수 없으므로 의식하지 않고 진짜 자기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문장완성 검사는 대규모의 군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중
부적합자를 걸러내기 위한 실제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문장
완성검사는 심리검사의 한 배터리로서 포함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각 연구자마다
그 목적에 걸맞은 다양한 문장완성검사를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2. 문장완성검사(SCT)의 특징
투사적 검사는 제시되는 검사 자극이 너무 구조화된 것이어도, 또 너무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도 피검자의 의미 있는 투사적 내용을 이끌어 내기가 어렵다. 문장완성검사는 대체로
로르샤하나 TAT보다도 더 구조화되어 있고 더 직접적인 검사로 간주되며 또 투사적 검사
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Wolman, 1978). 즉, 이 검사 용지를 받아 든 피검자는 다른
투사적 검사에서보다 검사의 목적을 쉽게 추측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드러내고
싶지 않은 질문의 문장에 대해서는 의식적으로 통제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우선, 문장완성검사의 종류마다 그 앞 문장의 모호함이
다르고, 또 동일한 검사 내에서도 각 문항이 피검자에게 주는 모호함의 정도는 다르다. 예
를 들면, ‘나는 ’과 같은 문항과, ‘나의 평생 가장 하고 싶은 일은                                     
’이라는 문항은 그 모호함이나 앞 문장이 제시하는 방향제시의 강도가 각각 다르다. 더 중
요한 것은, ‘투사(projection)'라는 것이 문장의 내용이나 의미 속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
니며, 투사되는 정서적 내용들이 표현되는 미묘한 방식 역시 피검자만의 어떤 독특한 면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겉보기에는 비슷한 내용이라도 그 표현에 있어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다른 문항에 비해 표현된 문장의 분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수사법, 표현의 정확성이나 모호함, 반응시간, 수정된 부분 등과 같은 형식적 특성들도 중요
한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동일한 문항에 대한 다음과 같은 반응 예를 살펴보자. 아래의
예는 ‘내 생각에 가끔 아버지는                          ’ 이라는 문항에 대한 몇몇 실제 반응들이다.

1. 가족에게 부담만 주고 가신것 같다.

2. 약한 분이다.

3. 너무 하다는 생각이 든다.

4. 무섭고 엄하다

5. 어떤 때는 사람이 아닌것 같다.

6. 무뚝뚝 하다.

7. 좋게 말해 주관이 강하다고나 할까.


이 반응들을 살펴보면 모두 아버지에 , 대해 부정적인 정서적 태도가 표현되고 있다는 점
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표현의 강도나 뉘앙스는 각각 다르다. 1, 2번의
경우, 부정적 감정이긴 하지만 아버지에 대해 존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뭔가 조심스런 태도
가 보인다. 그러나 5번이나 7번을 그렇지 않다. 2, 4번의 경우 표현이 매우 단정적이지만,
1, 3번의 경우 ‘같다’, ‘생각이 든다’와 같이 약간은 유보적인 태도가 엿보인다. 또한 6번은
감정적 색채를 배제한 ‘방관자’의 태도로 표현되어 있으며, 7번은 한발 물러서서 비꼬듯 바
라보는 냉소적 태도가 엿보인다.
위의 예는 문장완성검사의 단순한 반응 속에도 많은 미묘한 특성들이 투사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즉 여기에는 표현된 정서의 강도와 억압의 정도, 수동적 혹은 능동적 태도, 대상
에 대한 정서적 개입의 정도와 같은 많은 것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그를 통해 정서나 태도,
기제들에 관한 가설을 이끌어 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50∼60개의 문장으로부터 얻
을 수 있는 해석적 자료는 매우 풍부한 것이며, 이로써 숙련된 임상가는 문장의 전반적인
흐름 및 미묘한 뉘앙스를 통하여 피검자 성격의 복잡한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3. 문장완성검사(SCT)의 실시 방법
문장완성검사는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실시될 수 있으며, 검사지에 예문을 두어서는 안
된다. 검사시간은 30개의 자극어로 약 30-40분 정도면 족하다.
검사자는 지시문을 읽어 주고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해야 한다.

1. 답에는 정답, 오답이 없다. 생각 나는대로 써야 한다.

2. 글씨쓰기, 글짓기 시험이 아니므로 글씨나 문장의 좋고 나쁨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3. 주어진 어구를 보고 제일먼저 생각나는 것을 쓴다.

4. 주어진 어구를 보고도 생각이 안 나는 경우는 번홍에 0을 치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도 마지막에 완성한다.

5. 시간에 제한은 없으나 너무오래 끌지 않도록 빨리 빨리 쓴다.

6. 볼펜이나 연필로 쓰되, 지울때는 두줄로 긋고 다음 빈 공간에 쓴다.



피검자들이 흔히 하는 질문에는 천천히 “ 좋은 대답을 생각하면 안 되나요?”라는 것이 있
는데, 이런 경우에는 “각 문항들을 읽고 맨 먼저 떠오르는 것을 써야 하며 논리적인 구성을
위해 지체하면 안 된다”고 강조해야 한다. 또 다른 흔한 질문으로는 “한 단어만 적어도 되
나요?” 하는 것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한 단어이든 여러 문장이든 상관이 없고 단지 자
극문장을 읽고 떠오른 생각이면 된다”고 말해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문장 속에 들어있는 단
어의 의미를 물어보기도 하는데, 이 때 예를 들어 ‘드물게’라는 단어의 뜻을 “좀처럼 일어나
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주는 정도는 괜찮다. 그러나 피검자가 전체 문장의 뜻을 설명해 달
라고 하면, “피검자에게는 어떤 뜻으로 생각되는지”물어보고 “그렇게 생각한대로 하면 된
다”고 말해준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검사를 시작한 시간과 끝낸 시간을 기록하고, 피검자가 검사를 완성
한 후 가능하면 질문단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즉, 피검자의 반응에서 중요하거나 숨겨진 의
도가 있다고 보이는 문항들에 대해서 “이것에 대해 좀 더 이야기 해주십시오”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또는 강박증, 사고의 왜곡 등 임상적 증상과 관련된 내용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질
문을 통해 확인한다. 이런 단계는 말하기 힘든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계기를 제
공하기도 한다. 또한, 표준적인 실시방법은 피검자가 직접 문장을 읽고 반응을 써야 하지만,
심하게 불안한 피검자에게는 문항을 읽어주고 피검자가 대답한 것을 검사자가 받아 적는 것
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구술 시행은 반응시간, 얼굴 붉어짐, 표정 변화, 목소리 변
화, 전반적인 행동 등을 관찰함으로써 피검자가 어떤 문항들에서 막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Ⅱ. 문장완성검사(SCT)의 종류
1. Rotter의 문장완성검사(RISB: Rotter Incomplete Sentence Blank)
이 검사는 원래 미국 공군병원에서 진단초기에 부적합자를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었고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초기 진단과정의 일부로 사용된 것으로, ‘적응점수
(adjustment score)’를 산출하여 피검자의 전반적인 적응정도를 알 수 있다. 이 검사에서
각 반응을 ‘갈등 혹은 불건강한 반응’, ‘긍정적 혹은 건강한 반응’, ‘중립적 반응’ 의 세 가지
범주로 채점된다. 갈등 반응에는 그 강도에 따라 +1∼+3점이 부여되고 중립반응에는 0점
이, 긍정적 반응에는 -1∼-3점이 부여된다. 이 각각의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부적응의 정도가 큰 것으로 판단한다.
반응을 분류하고 채점하는 기준과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누락 반응 : 반응이 없거나 의미를 추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간단한 반응.

2. 갈등 반응: 적대감이나 불행한 감정을 시사하는 반응.

    (예) 나는 온 세상을 미워한다.

3. 긍정적 반응: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반응.

   (예) 가장 좋은 것은 이미 내가 가지고 있다.

4.  중립적 반응 : 긍정 혹은 부정적 정서가 담기지 않은 단순 기술 반응.

     (예) 대 부분의 소녀들은 여자다. 


적응점수를 사용하여 부적응 상태에 있는 사람을 선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 청
소년 중 를 정상으로 73% 비행청소년의 60%를 정확이 판별할 수 있었다(Fuller, Parmelee,
& Carrol, 1982). 또한 심각한 약물중독자 중 80∼100%를 판별할 수 있었다(Gardner,
1967). 그러나 이처럼 단일 적응점수를 사용하면 개인의 일상생활 적응의 기능을 빨리 파
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성격기능의 차이를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다
른 자기보고식 검사들과 동일한 문제, 즉 피검자가 검사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것만 반
응한다는 단점이 있다.
2. Sacks의 문장완성검사(SSCT: Sacks Sentence Completion Test)
이 검사는 Josepg M. Sacks에 의해 개발되었다. Sacks는 20명의 심리치료자에게 적응
에 있어 중요한 ‘가족, 성, 자기개념, 대인관계’의 네 가지 영역에 관한 피검자의 중요한 태
도 및 임상적 자료를 이끌어낼 수 있는 미완성 문장 3개씩을 만들도록 하였다. 여기에는 문
장완성 검사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로부터 얻어진 문항들도 포함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280개의 문항들을 얻은 후 이것을 다시 20명의 심리학자들에게 주고 각 범주에서 가장 유
의미하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4개씩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이 선택된 60
개의 문항들이 최종 검사 문항으로 결정되었고, 현재에는 이 중 내용이 반복되는 것을 제외
한 50개의 문항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Sacks는 4개 영역을 각각 세분화하여 최종적으로 총 1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각
영역에 대해서 피검자가 보이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3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우선
확인이 불가능하고 불충분한 응답인 경우 X로 평가하며, 의미 있는 손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0점, 약간의 정서적 갈등은 있으나 치료는 필요 없는 정도이면 경미한 손상으로 보고 1점,
그리고 정서적 갈등이 지적되고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면 심한 손상으로 보고 2점으로 평가
하여 그 수치를 통해 피검자에 대한 최종평가를 하도록 해석 체계를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피검자 100명의 반응을 가지고 3명의 심리학자에게
15개 영역에 대해서 장애의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고, 그 피검자들의 정신과 주치의들에게
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평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심리학자들 간의 신뢰도는 92%의 일치율
을 보였으며, 정신과 의사들과 심리학자들 간의 평정의 일치도는 .48∼.57, 표준오차는 .02
∼.03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피검자 50명을 선정하여 심리학자들은 이들
의 검사 반응을 기초로 15개 영역에 대한 해석적 요약을 하도록 하고, 정신과 의사들에게는
임상적 관찰에 근거하여 자신의 피검자(환자)에 대한 해석적 요약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
진술들 역시 77%의 일치도를 보였다.
각 영역별 문항을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가족(12문항)
이 영역은 어머니, 아버지, 가족에 대한 태도를 담고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머
니와 아버지, 그리고 가족 전체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자가 경계적이고 회피적인 경향이 있다하더라도 네 개의 문항들 중 최소 한 개에서라도
유의미한 정보가 드러나게 된다.

 나의 아버지는 좀처럼                                     

 나는 어머니를 좋아했지만                                     

  대 부분의 다른 가족에 비해서 나의 가족은                                


2) 성(8문항)
이 영역은 이성 관계에 대한 것으로 여성, 결혼, 성 관계에 관한 태도를 표현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항들은 사회적인 개인으로서의 여성과 남성, 결혼, 성적 관계
에 대하여 자신을 나타내도록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대부분의 여자들은                                           

 남녀가 함께 있는 곳을 볼 때면                                                  

 나의 성 생활은                                                             


3) 대인관계(16문항)
이 영역은 친구, 지인, 직장동료, 직장상사에 관한 태도를 포함한다. 이 영역의 문항들은
가족 외의 사람들에 대한 감정이나 자신에 대해 타인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한 피검자의
생각들을 표현하게 한다.

  내 생각에 진정한 친구란                                    

  윗사람이 오는 것을 보면                                             

  내가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4) 자기개념(24문항)
이 영역은 자신의 두려움, 죄의식, 목표, 자신의 능력, 과거와 미래에 대한 태도가 포함
되며, 이 영역에서 표현되는 태도들은 현재, 과거, 미래의 자기개념과 그가 바라는 미래의
자기상과 실제로 자기가 될 것 같다고 생각하는 모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즉, 이런
표현을 통해서 임상가는 피검자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어리석게도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나의 가장 큰 실수는                                                              

 행운이 나를 외면할 때는                                                         

 내가 어렸을 때는                                                                  

 언젠가 나는                                                                       

 내 인생에서 가장 원하는 것은                                                  


3. Rohde의 문장완성검사(RSCM: Rohde Sentence Completion Method)
다른 문장완성검사에 비해서는 제시되는 문장이 모호하며, 개방형 질문을 포함하는 65개
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문은 ‘다음의 문장을 가능하면 빨리 완성시키십시오. 당신
의 진정한 느낌과 견해를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십시오.’와 같이 제시되는데, 이 지시
문을 보면 가능한 한 빨리 응답하게 함으로써 의식적 조절이 개입되지 않게 하면서도 중요
한 느낌들이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래는                                          

 나는                                                  을 기억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는                                                  을 느낀다.

 나의 가장 나쁜                                                 


4. Loevinger의 문장완성검사(WUSC: Washington University Sentence Completion Test)
문장완성검사는 대체로 연구의 목적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로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Loevinger(1979)는 이 문장완성검사를 통하여 가장 세분화
되고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문장완성검사를 7단계로 나누어 자아발달의 수준을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내었는데 피검자의 반응을 전사회적 혹은 공생적,
충동적, 자기 방어적, 순응적, 양심적, 자율적, 통합적 수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반응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였다. WUSC는 성인 남성과 여성,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별개의 양식이 있다.
광범위한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각 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각 수준별로 채점할 수
있는 지침이 마련되어 있다.
5. 아동용 문장완성 검사
아동의 욕구상태와 부모 및 교사, 동성, 이성 친구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
며 성격 역동에 대한 심리진단 정보를 얻고 전반적인 심리적 적응을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가족
이 영역은 어머니, 아버지, 가족에 대한 태도를 담고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며 가족에 대
한 지각, 정서적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사회
또래와의 상호작용, 일반적인 대인관계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3)학교
학교에 대한 지각, 성취와 욕구에 대한 지각 등을 파악할 수 있다.
4) 자기
미래 지향, 소원, 일반적인 정신건강 등의 개인내적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Ⅲ. 문장완성검사(SCT)의 해석
문장완성 검사와 같은 투사적 기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임상가의 경험과 통찰, 이해가 특
별하게 중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장완성검사 또한 임상가의 경험과 지식에 의
거하여 직관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지만, 반응을 객관적인 범주에 따라 분류하여 그 표
현 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수량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검사결과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에 대해서 이루어지며, 이들 요인의 분
석을 통해 개인의 성격이나 적응 상태 등을 이해하게 된다.
1. Sacks의 문장완성검사(SSCT)의 해석
여러 문장완성검사 중 대표적인 SSCT의 채점 방법 및 해석을 보면 다음과 같다.
SSCT에는 각각의 영역(가족, 성, 대인관계, 자기개념)이 있는데,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
검사자는 각 영역에 대하여 피검자가 어느 정도의 혼란과 부적응을 겪고 있는지 평정하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각각의 반응에 대해 점수가 부여되며, 예를 들면 아래
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아버지에 대한 태도

 2.  내 생각에 가끔 아버지는 거의 일을 한적이 없다.

 19. 대개 아버지들이란 좀 더 나았으면 좋겠다.

 46. 아버지와 나는 좋은 점이라곤 하나도 없다.


밑줄 친 문장이 피검자의 반응들이다. 이 네 개의 반응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 영
역에서 드러나는 피검자 태도에 대한 임상적인 인상을 구체화시켜 해석적 요약이 이루어진
다. 이 경우 해석적 요약은 “죽이고 싶을 정도로 심한 적대감과 분노감을 나타냄”으로 기술
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인 평점은 아래의 척도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서 해당 영역에서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X ; 확인이 불가능하고 불충분한 응답

 O: 해당 영역에 있어서 의미 있는 손상이 발견되지 않음

 1. 경미한 손상: 약간의 정서적 갈등은 있으나 치료적 도움 없이 이를 다룰수 있는 정도임

 2: 심한 손상- 이 영역에서 보이는 정서적 갈등을 다루기 위해 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이런 과정을 통해서 가장 많이 손상된 태도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기술과 반응 내용에서
드러나는 태도들 간의 상호 관련성이나 모순 등에 대한 기술이 가능해진다. 전자는 피검자
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후자는 역동적인 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한편, SSCT 자체의 반응을 분석한 자료와 다른 투사적 검사에서 얻어진 자료와의 비교
를 통해서 검사자는 피검자에 대한 더욱 풍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투사적 검사에서는
자극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투사되는 의식수준에 차이가 나타난다. 즉 로르샤하 검사는 성
격의 기본구조와 원초적 욕구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게 해주며, TAT는 문제의 역동적인
측면과 관련된 자료들을 이끌어낸다. 반면 문장완성 검사는 의식적, 전의식적, 또는 무의식
적인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준다. 예를 들어, 한 환자가 로르샤하 반응에서 상당한 적대감을
나타내면서, 8번 카드에서는 두 마리의 동물들이 “먹이를 두고 피가 터지도록 싸우고 있다”
고 하였고 10번 카드에서도 “살인” “투쟁” 등의 표현을 하였다. TAT에서도 폭력, 투쟁, 살
인의 주제가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나, 문장완성검사에서는 과장된 이타주의와 이상주의를 반
영하는 반응들을 보였다(언젠가 나는 “사회에 이익금을 환원하고 봉사할 것이다”, 나의 야
망은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도록 돕고 싶다”). 이러한 경우 이 피검자가 자신의 폭력적인
공격 충동을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의 방어기제를 통해 통제하고 있다는 해석적 가
설을 세워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장완성검사에서는 우선 이를 기초로 성격 구조에 대한 추론을 하
고 다른 검사들로부터 얻어진 결론들과 이 추론을 종합하여 통합적인 해석을 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주의를 두어 해석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1. 내적인 충동에 주로 반응하는가, 외부환경 자극에 주로 반응하는가?

 2.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정서적 반응이 충동적인가 아니면 잘 통제되는가?

 3. 자신의 책임이나 타인의 관점을 적절히 고려 하는등 사고가 성숙된 편인가 아니면 미성숙하고 자기 중심적인가?

 4. 사고가 현실적인가 아니면 자폐적이고 공상적 인가?


참고문헌
Cameron, D. E. (1938). Early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95,
567-578.
Fuller, G. B., Parmelee, W. M., & Carroll, J. L. (1982). Performance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high school boys on the Rotter Incomplete Sentences Blank.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6, 506-510.
Gardner, J. (1967). The adjustment of drug addicts as measured by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Journal of Projective Techniques and Personality Assessment, 31,
Loevinger, J.(1979).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of ego
development.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 281-311.
Payne, A. F.(1928). Sentence Completion. New York: New York Guidance Clinic.
Rohde, A. (1946). Explorations in Personality by the Sentence Completion Metho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0, 169-181.
Tendler, A. D. (1930). A Preliminary Report on a Test for Emotional Insigh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4, 123-136.

 

서식-SCT(아동용-33문항)[1].hwp

 

서식-SCT(청소년용-38문항)[1].hwp

출처 : 가만히조용히
글쓴이 : 가만히조용히 원글보기
메모 :

'theory > 심리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2 Scales  (0) 2020.06.30
[스크랩]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 해석 메뉴얼  (0) 2014.02.04
신경심리검사  (0) 2011.03.28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0) 2011.03.28
[스크랩] 성생활만족도 검사  (0) 201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