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ssion/상담이야기

[스크랩] 나는 누구입니까?

반찬이 2010. 3. 5. 08:10

Who Am I? (Nan Yar?)
나는 누구입니까?

 

As all living desire to be happy always, without misery,
as in the case of everyone there is observed supreme love for one's self,
and as happiness alone is the cause for love,
in order to gain that happiness which is one's nature
and which is experienced in the state of deep sleep
where there is no mind, one should know one's self.
For that, the path of knowledge,
the inquiry of the form "Who am I?", is the principal means.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은 항상 불행 없이 행복하기를 바라고,
개개의 존재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지고의 사랑을 가지고 있는데,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이야말로 그들이 자신을 사랑하는 이유(동기)이므로,
마음이 사라진 깊은 잠의 상태에서 체험되는 자신의 성품인
그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기 자신을 알려고 한다면, 지혜(知慧)의 길,
즉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의 형태가 주된 수행 방법이 되어야 합니다.


(앞부분에 이어서)

 

12.

Are there no other means for making the mind quiescent?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다른 어떤 수단은 없습니까?

 

Other than inquiry, there are no adequate means.
If through other means it is sought to control the mind,
the mind will appear to be controlled, but will again go forth.
Through the control of breath also. the mind will become quiescent;
but it will be quiescent only so long as the breath remains controlled,
and when the breath resumes the mind also will again start moving
and will wander as impelled by residual impressions.
마음을 탐구하는 것 외에는 다른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마음을 다스리려고 해보면,
마음이 다스려진 듯하다가도 다시 일어납니다.
호흡의 제어를 통해서도 마음이 가라앉지만,
그것은 호흡이 제어되는 동안만 그러할 뿐입니다.
호흡을 되돌려 놓으면 마음도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여,
잔류 인상들이 이끄는 대로 이리저리 헤매게 됩니다.

 

The source is the same for both mind and breath.
Thoughts, indeed, is the nature of the mind.
The thought "I" is the first though of the mind; and that is egoity.
It is from that whence egoity originates that breath also originates.
Therefore, when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is controlled,
and when the breath is controlled the mind becomes quiescent.
마음과 호흡은 근원이 같습니다.
사실 마음의 본질은 생각입니다.
그리고 '나'라는 생각이 마음이 일으키는 최초의 생각인데,
이것이 에고라는 작은 자아입니다.
에고라는 작은 자아(自我)가 시작되는 바로 그 지점에서 호흡도 시작됩니다.
따라서 마음이 가라앉으면 호흡이 제어되고,
호흡이 제어되면 마음도 가라앉는 것입니다.

 

But in deep sleep, although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does not stop.
This is because of will of God, so that the body may be preserved
and other people may not be under the impression that it is dead.
In the state of waking and in samadhi,
when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is controlled.
Breath is the gross form of mind.
Till the time of death, the mind keeps breath in the body;
and when the body dies the mind takes the breath along with it.
Therefore, the exercise of breath-control is only an aid
for rendering the mind quiescent (manonigraha);
it will not gestroy the mind (manonasa).
하지만 깊은 잠이 들었을 때도 마음은 가라앉지만 호흡은 멈추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때에도 육체가 유지되게 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 육체가 죽었다고
오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신의 섭리에 따른 것입니다.
깨어있는 상태와 삼매 상태에서 마음을 가라앉히면 호흡이 제어됩니다.
호흡은 조잡한 형태의 마음입니다.
마음은 죽음의 순간까지 육체 안에서 호흡을 유지하다가,
육체가 죽으면 떠나면서 호흡을 가지고 갑니다.
따라서 호흡 제어(breath-control)의 수련은
단지 마음을 가라앉히는 방편일 뿐, 마음을 사라지게 하지는 못합니다.

 

Like the practice of breath-control, meditation on the forms of God,
repetition of mantras, restriction on food, etc.,
are but aids for rendering the mind quiescent.
호흡 제어의 수행과 마찬가지로, 신의 형상에 대한 명상이나 주문의 암송,
음식의 절제 등은 모두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한 방편일 뿐입니다.
 
Through meditation on the forms of God and through repetition of mantras,
the mind becomes one-pointed. The mind will always be wandering.
Just as when a chain is given to an elephant to hold in its trunk
it will go along grasping the chain and nothing else,
so also when the mind is occupied with a name or form it will grasp that alone.
신의 형상을 명상하거나 주문을 암송함으로써 마음은 일념에 집중됩니다.
우리의 마음이란 항상 헤매기 마련입니다.
코끼리의 코에 사슬을 하나 쥐어 주면
그것을 코로 집느라고 코끼리가 딴 짓을 하지 않듯이,
마음도 하나의 이름이나 형상에 몰두하면 그것 하나만 붙들게 됩니다.

 

When the mind expands in the form of countless thoughts,
each thought becomes weak;
but as thoughts get resolved the mind becomes one-pointed and strong;
for such a mind Self-inquiry will become easy.
Of all the restrictive rules,
that relating to the taking of sattvic food in moderate quantities is best;
by observing this rule, the sattvic quality of mind will increase,
and that will be helpful to Self-inquiry.
마음이 무수한 생각들로 확산되면 하나 하나의 생각은 그 힘이 약해지지만,
생각들이 뭉치면 마음은 일념이 되어 강해집니다.
이러한 마음이 되면 자기 탐구가 쉬워집니다.
절제하는 규칙들(restrictive rules) 중에서는,
순수한 식품을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입니다.
이 규칙을 지키면 미음의 순수성이 증가되며,
그것이 자기탐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13.

The residual impressions (thoughts) of objects appear
wending like the waves of an ocean. When will all of them get destroyed?
대상들에 대한 잔류 인상(생각)들이 마치 바다의 파도처럼 끝없이 일어납니다.
이 모든 생각들이 언제쯤이나 없어지겠습니까?

 

As the meditation on the Self rises higher and higher,
the thoughts will get destroyed.
진정한 나에 대한 명상이 깊고 깊어짐에 따라
그런 생각들도 소멸되어 갈 것입니다.

 

 

14.

Is it possible for the residual impressions of objects
that come from beginningless time, as it were, to be resolved,
and for one to remain as pure Self?
말하자면, 시작도 없는 옛적부터(無始以來) 계속되어 온,
이 대상에 대한 잔류인상들이 모두 해소되어
우리가 순수한 진정한 자아로 남는다는 것이 과연 가능하겠습니까?

 

Without yielding to the doubt "Is it possible, or not?",
one should persistently hold on to the meditation on the Self.
Even if one be a great sinner, one should not worry and weep
"O! I am a sinner, how can I be saved?",
one should completely renounce the though "I am a sinner",
and concentrate keenly on meditation on the Self;
then, one would surely succeed.
'그것이 가능할 것일까, 가능하지 않는 것일까'를 따지지 말고
진정한 자아에 대한 명상을 끈덕지게 밀고 나아가야 합니다.
설혹 큰 죄를 지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아, 나는 죄인이다. 이런 내가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겠는가?'하면서
걱정하고 비통해 하면 안됩니다.
'나는 죄인이다'라고 하는 생각을 완전히 놓아버리고
진정한 자아에 대한 명상에 일념으로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면 반드시 성공할 것입니다.

 

There are not two minds - one good and the other evil;
the mind is only one.
It is the residual impressions that are of two kinds
- auspicious and inauspicious.
When the mind is under the influence of auspicious impressions
it is called good;
and when it is under the influence of inauspicious impressions
it is regarded as evil.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음은 오직 하나입니다.
두 가지로 나뉘어지는 것은 잔류인상들입니다.
즉, 좋은 인상들과 나쁜 인상들이 그것입니다.
마음이 좋은 인상들의 영향 하에 있는 때,
그것을 일컬어 선(善)이라 부르고,
마음이 나쁜 인상들의 영향 하에 있을 때,
그것은 악(惡)이라고 여겨지는 것입니다.

 

The mind should not be allowed to wander towards wordly objects
and what concerns other people.
However bad other people may be, one should bear no hatred for them.
Both desire and hatred should be eschewed.
All that one gives to others one gives to one's self.
If this truth is understood who will not give to others?
When one's self arises all arises;
when one's self becomes quiescent all becomes quiescent.
To the extent we behave with humility, to that extent there will result good.
If the mind is rendered quiescent, one may live anywhere.
마음이 세속적인 대상들(wordly objects)이나
세상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그런 문제에 쏠리게 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아무리 나쁘다 해도 그들에게 증오심을 품어서는 안됩니다.
(세속적인) 욕망과 증오심은 둘 다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자기가 남들에게 주는 것은 모두 자기 자신에게 주는 것입니다.
만일 이 진리를 이해한다면 누가 남에게 베풀지 않겠습니까?
자신의 작은 자아인 '나'라는 생각이 (one's self)가 일어나면
모든 것이 일어나고, 자아가 고요해지면 모든 것이 가라앉습니다.
우리가 자신을 낮추면 낮출수록 점점 좋은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마음이 고요해져서 안정되면 우리는 그 어디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15.

How long should inquiry be practised?
자아를 탐구하기 위한 수행은 얼마나 오랫동안 해야하는지요?

 

As long as there are impressions of objects in the mind,
so long the inquiry "Who am I?" is required.
As thoughts arise they should be destroyed then
and there in the very place of their origin, through inquiry.
If one resorts to contemplation of the Self unintermittently,
until the Self is gained, that alone would do.
As long as there are enemies within the fortress,
they will continue to sally forth;
if they are destroyed as they emerge,
the fortress will fall into our hands.
마음 속에 대상들에 대한 인상들이 남아있는 한,
'나는 누구인가?'하는 탐구가 필요합니다.
생각들이 일어나면 바로 그 자리에서 그것들을 소멸시켜야 합니다.
진정한 자아를 깨달을 때까지
끊임없이 진정한 자아에 마음을 집중해 나아간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요새 안에 적이 남아 있는 한 그들은 계속 반격해 오겠지만,
그들이 나타나는 족족 없애버린다면
요새는 결국 우리 수중에 떨어질 것입니다.

출처 : 상담심리자료창고
글쓴이 : 치유칼리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