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집단상담

집단상담 프로그램

반찬이 2011. 5. 17. 14:43

프로그램

운영기간

회기

모집

정원

장소

진행자

참을 忍 세 번이면 병난다

(자기표현훈련)

2009. 12. 21.(월)~2010.1. 8.(금)

월,수,금 10:00~12:00(2시간)

7회기

12명

집단상담실

이 기 선

발표불안감소훈련

2009.12.21.(월)~2010.1.11.(월)

월,수 10:00~12:00(2시간)

7회기

12명

세미나실

김 소 하

굿바이, 게으름

2009.12.22(화)~2010.1.26(화)

화 10:00~12:00(2시간)

6회기

10명

집단상담실

김 인 애

내가 왜 이러는지 몰라

(분노조절프로그램)

2010. 1. 4.(월)~ 1. 15(금)

월,수,금, 15:00~17:00(2시간)

6회기

10명

집단상담실

김 민 정

자아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미술치료프로그램)

2010. 2. 2.(화)~2.18.(목)

화,목 14:00~16:00(2시간)

6회기

10명

집단상담실

장 윤 정

내가 뭐 어때서~

(자기이해집단상담)

2010.2.17.(수)~2.26.(금)

월,수,금 14:00~16:00(2시간)

5회기

10명

(1~2학년만)

집단상담실

김 현 숙

 

*발표불안감소: 발표를 “아예” 못하는 사람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잘하는 사람은 남에게 피해를 주게 되니 신청하지 말아주세요!!

*내가 뭐 어때서~: 1~2학년 학생만 신청받습니다.

*방학집단상담은 대학생 위주로 진행되니, 대학원생 신청은 받지 않습니다.

(신청을 원하시는 경우엔 상담선생님과 개별 의논 바랍니다.)

 

 

 

 

 

 

 

1.참을 忍 세번이면 병난다(자기표현훈련)

1)목적

자기표현 훈련은 대인관계에서 상대방의 인권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느낌 등을 상대방에게 솔직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자기표현방법을 익힘으로서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초래될 수 있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우울, 불안, 분노, 원한, 대인관계 불안과 같은 감정 등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2) 프로그램 내용

구분

활동내용

1회기

(12월21일)

-자기소개 만들기

-서약서 작성

-진실게임

-자기표현 연습하기

2회기

(12월23일)

-경험속에서 자기표현, 공격성, 비자기표현을 했던 경험 나누기

-표현방식의 유형 탐색하기(Role-play)

-나의 장점자랑하기, 상대방 칭찬하기

-표현의 1, 2요소를 통한 칭찬과 공감해보기

3회기

(12월28일)

-현재 의사소통방식 알아보기 (Role play)

-감정게임을 통한 감정 알아가기

-나 전달법 교육 후 나 전달법 사용해보기(Role play)

4회기

(12월30일)

-욕구찾기

(욕구목록에서 자신의 욕구를 찾아보기)

-욕구비교하기

(주요 욕구 5개 선정, 다른 사람과 비교해보기)

-요청하기

5회기

(1월4일)

-거절하기

-주장하기

-나 전달법을 통한 주장하기

6회기

(1월6일)

-의사소통의 걸림돌 알아보기

-의사소통의 걸림돌 경험하기

-현재 나의 의사소통방식 알아보기

-비구조화 집단상담

7회기

(1월8일)

집단상담에 대한 자신의 느낌나누기

-빙고게임

-롤링페이퍼작성하기

-시상 및 종결

 

 

2. 발표불안 감소훈련

1) 프로그램의 목적

발표 불안 감소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수업시간 및 기타 발표 장면에서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발표행동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발표를 아주 못하는 학생을 위한것이니 잘하는 사람은 오지 마세요!!)

 

2) 프로그램 세부 내용

회기

주제

활동

1회기

(12월21일)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친밀감 형성

- 집단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소개하기

- 집단규칙 만들고 서약하기

- 집단원 별칭 짓기 및 자기소개하기

동기, 집단에 대한 기대나누기

- 사전검사 실시 : SAS 발표불안척도

2회기

(12월23일)

발표불안 들여다보기

- 워밍업 활동

- 주어진 주제에 대해 3분 speech

: 발표경험(비디오 촬영)

- 불안의 요소 관찰일지

: 발표불안을 느끼는 상황에서 자신의 생리적 반응, 인지, 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펴보기(불안지수 평가)

3회기

(12월28일)

나의 사고 확인하기

- 워밍업 활동

- 비디오 촬영 감상 및 피드백

: 발표평가, 자신의 장·단점 찾기

- 발표상황 상상 후 반응 알아보기

: ABC - 사건, 생각, 감정의 관계 알기

4회기

(1230)

자동적 사고란?

- 워밍업 활동

- 자동적 사고 학습하기

- 발표 상황에서 떠오르는 생각 나열하기

: 자동적 사고 찾기, 인지적 오류 찾기

- 나의 자동적 사고에서 인지적 오류 찾기

: 발표하며 나누기

 

5회기

(14)

자동적 사고 공략하기

- 워밍업 활동

- 연출된 상황 속에서 자동적 사고 공략하기

: 발표불안 상황 예화에서 자동적 사고

찾고 반박하는 합리적 사고 찾기.

사고 찾기 전과 후의 척도 비교 평가

- 자신의 자동적 사고 공략하기

불안한 OO와 튼튼한 OO의 대화

- 사고기록지 과제내주기

: 자동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바꾸고

바뀌기 전과 후의 기분 평가

6회기

(1월6일)

발표, 노출연습하기

- 워밍업 활동

- 사고기록지 점검

: 자동적 사고 확인하고 대안적 사고 알기

- 주어진 주제에 대해 3분 speech

: 발표경험(비디오 촬영)

7회기

(1월11일)

장점 찾기 및

발표기술 익히기

- 워밍업 활동

- 비디오 촬영 감상 후 피드백 나누기

: 발표자를 위한 장점 피드백

- 프로그램 내용 복습(회기정리)

- 사후검사

: SAS,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3. 굿바이 게으름

1. 프로그램의 목적

모든 사람의 문제지만 정면으로 맞서보지 않은 습관적인 게으름, 게으름!!

게으름의 다양한 모습을 통해 나의 게으름 유형을 알고 긍정적인 습관과 새로운 마음가짐을 연습한다. 또한 부정적인 습관에 길들여진 게으름을 능동적인 실천 습관으로 배양시키고 이러한 성공경험을 통해 자존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2. 프로그램 세부 내용

회기

주제

활동

1

(12월22일)

ㆍ오리엔테이션

ㆍ게으름의 다양한 얼굴 알기

ㆍ프로그램 소개

ㆍ집단원 소개 및 규칙만들기

ㆍ자신의 게으름 유형 파악하기

2

(12월29일)

ㆍ게으름형 vs 실천형 행동과정 살피기

ㆍ‘게으름형 행동과정’단계별 게으름을 파악한 후 ‘실천형 행동과정’으로 단계별 작성하기

3

(1월5일)

ㆍ게으름 탈출을 돕는 긍정적 습관 만들기 Ⅰ

ㆍ부정적 습관 목록 작성 및 의미 파악

ㆍ게으름 유혹 반박하기

ㆍ계획 재작성

4

(1월12일)

 

ㆍ게으름 탈출을 돕는 긍정적 습관 만들기 Ⅱ

 

ㆍ대안찾기

ㆍ긍정적 대체물 찾기(보상과 벌)

5

(1월19일)

ㆍ게으름 탈출을 돕는 긍정적 습관 만들기 Ⅲ

ㆍ구체적 성취 경험 3가지

ㆍ성취감정, 느낌 조각 활동

6

(1월26일)

ㆍ게으름 탈출 성공!!

ㆍ프로그램 종결 및 소감나누기

ㆍ과제확인

ㆍ프로그램 마치며 전체 소감 나누기

 

 

 

 

 

 

 

 

4. 내가 왜 이러는지 몰라(분노조절프로그램)

1) 프로그램 목적

가정 - 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이유가 상대방이나 환경 탓이 아닌 내가 화나는 원인, 즉, 감정을 알지 못해서 표현하지 못했고 객관적이지 않은 비합리적 신념 때문이라면,

* 분노의 1차 감정을 찾는다.

* 나의 감정을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꾼다.

 

회기

주제

활동

1

(1월4일)

ㆍ오리엔테이션

ㆍ분노의 긍정적 결과 vs 부정적 결과 알기

ㆍ프로그램 소개

ㆍ집단원 소개 및 규칙만들기

ㆍ나의 분노하는 상황과 대처법 파악하기

2

(1월6일)

최근 스트레스를 통한 나의 숨겨진 감정과 오해풀기

ㆍ얼굴표정카드 통한 감정찾기

ㆍ1차 감정 찾기

ㆍ비합리적 신념 찾기

3

(1월8일)

과거의 모습을 통해 나의 분노 패턴찾기

ㆍ추억 속 물건 토크

- 감정 찾기, 비합리적 신념 찾기

ㆍ분노표출

4

(1월11일)

ㆍ효과적인 대안찾기

ㆍ나 전달법 연습

ㆍ스트레스 경매게임

5

(1월 13일)

긴장이완 훈련과 분노의 득과 실

ㆍ나 전달법 연습

ㆍ긴장이완 훈련

ㆍ내게 중요한 거 우선순위 매기기

6

(1월 15일)

ㆍ분노 조절 성공!!

ㆍ프로그램 종결 및 소감나누기

ㆍ회기 요약

ㆍ프로그램 마치며 전체 소감 나누기

2) 프로그램 세부 내용

 

 

 

 

 

 

 

 

 

5. 자아성장을 위한 집단상담(미술치료프로그램)

1) 프로그램의 목적

단계별 집단미술활동내용을 통해 대학생이 자신의 모습을 탐색하고 온전히 이해, 수용하여 자아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2) 프로그램 세부 내용

회기

주제

활동

1

(2월 2일)

ㆍ자기소개, 애칭 짓기

ㆍ9분할법(나의 상징), LMT

ㆍ사전검사실시- HTP, KHTP

ㆍ자기표현력 형성

ㆍ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방향파악

ㆍ흥미유발과 rapport 형성

2

(2월 4일)

ㆍ과거의 나, 현재의 나(꼴라쥬)

ㆍ자기탐색, 자기개방

ㆍ지지적 상호작용 촉진,

ㆍ타인의 삶 이해

3

(2월 9일)

ㆍ감정 사전

ㆍ자기 직면, 자기통찰

ㆍ타인의 감정과 표현 살핌

4

(2월 11일)

 

ㆍ나의 장점과 단점

(예쁜손 미운손)

 

ㆍ내 모습 재인식

ㆍ자기탐색, 자기통찰

ㆍ긍정적 자아 형성

ㆍ자아 존중감 형성

5

(2월 16일)

ㆍ빈 박스 꾸미기-내가 보는 나,

남이 보는 나

ㆍ인생그래프

ㆍ자신에 대한 더 깊은 자각

ㆍ삶을 돌아보고 미래의 계획 세우기

6

(2월 18일)

ㆍ소망나무

ㆍ사후검사실시-HTP, KHTP

ㆍ상호 존중감 형성, 집단 응집력 강화,

ㆍ집단원간 피드백 기회제공,

긍정적인 반응 부여

ㆍ현실적 비전 - 미래방향 설정

 

 

 

 

 

 

 

 

 

6. 내가 뭐 어때서?(자기이해집단상담)

1) 프로그램의 목적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수용하고, 사랑할 수 있는 우리가 되자는 생각에서 만들었습니다. 지금 여기까지 살아오면서 타인과 비교되고, 비교하면서 상처받아 왔던 나를 어루만져 주고자 합니다.

 

2) 대상: 전남대학교 1~2학년 학생

 

3) 프로그램 세부 내용

회기

주제

활동

1회기

(2월 17일)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친밀감 형성

- 집단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소개하기

- 집단규칙 만들고 서약하기

- 집단원 별칭 짓기 및 자기소개하기

동기, 집단에 대한 기대나누기

2회기

(2월 19일)

나를 찾아가는 시간여행

감정표현은 이렇게...

생애곡선그리기.

3회기

(2월 22일)

내가 뭐 어때서

(친구에게 털어놓기)

경청과 공감은 이렇게...

짝궁을 정한다.

짝궁이 나의 상담자.

짝궁이 이야기 할 때에는 경청과 공감반응만 한다.

4회기

(2월 24일)

I Love Me♡

그동안 정말로 듣고 싶었던 말이 무엇이었나요?

그동안 정말로 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나요?

내가 나에게 선물하기.

5회기

(2월 26일)

나에게 쓰는 편지

앞으로 나는 이렇게 살거야!

10년 후 나에게 편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