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울증의 정신분석학적 이론
분노가 무의식적으로 자기에게 향해진 현상. 자기비난, 자기책망, 죄책감으로 인한 자기 가치감의 손상으로 인해 자아기능의 약화로 우울증이 생긴다.
우울증은 어린 시절에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을 상실하여 무력감을 느꼈던 심리적 상처의 반영 또는 재발이다.
2) 우울증의 행동주의 이론
사회환경으로부터 긍정적 강화가 약화되어 나타난 현상이 우울증이라고 본다.
(1) 환경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실직, 이혼, 사별등과 같은 부정적 사건들의 지속적 발생으로 인해 긍정적 강화가 줄어든다.
(2) 적절한 사회적 기술과 대처능력이 부족한 경우.
사회적 기술(social skill)의 부족, 친구의 놀림이나 공격행동, 왕따등에 대처하는 행동
--> 자기표현 기술, 자기주장 기술, 의사소통 기술, 대인문제해결 기술
(3) 긍정적 경험을 즐기는 능력은 부족한 반면 부정적 경험에 대한 민감성은 높은 경우.
(4)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미래에 대한 부정적 기대 때문에 상황을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인지
(5) 절망감 이론(hopelessness theory) :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결과의 발생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와 이러한 결과의 발생에 대한 무력감.
3) 우울증의 인지주의 이론
(1)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
(2) 인지삼제(cognitive triad) : 우울한 사람은 자기 자신, 자신 미래, 주변 환경에 대해 부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다.
(3) 인지적 오류(cognitive error) : 흑백논리, 과잉일반화, 의미확대/축소, 잘못된 명명(mislabelling) 등등
(4) 역기능적 신념(dysfunctional belief)
4) 우울증의 생물심리학적 이론
카테콜라민 가설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을 포함하는 호르몬이 결핍되면 우울증이 생기고, 과다하면 조증이 생긴다.
5) 치료적 접근
인지치료 + 약물치료.
절망감(hopelessness), 동굴시야(tunnel vision)
'theory > 정신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stance-related disorders (0) | 2018.12.02 |
---|---|
DSM에 나오는 변태종류 (0) | 2018.12.02 |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0) | 2018.12.02 |
Sleep Disorders (0) | 2018.12.02 |
hoarding disorder (0) | 201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