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관련장애(substance-related disorders)
1) 물질사용장애(substance use disorders)
(1) 물질의존(substance dependency) : 특정한 물질에 몸과 마음이 익숙해져 그러한 물질이 없이는 생활하기 어려운 상태. 물질을 점점 더 많이 원하는 내성(tolerance)과 물질을 섭취하지 않으면 고통을 느끼는 금단현상(withdrawal)으로 개인을 심각한 부적응상태로 몰아감.
(2) 물질남용(substance abuse) : 과다한 또는 반복적인 물질사용으로 인한 현저하게 해로운 결과(폭행, 학업 및 직업의 수행저하 및 태만, 대인관계 문제, 신체적 피해 등)가 나타나는 경우.
2) 물질 유도성 장애(substance-induced disorders) : 특정한 물질의 섭취나 복용으로 인해 파생되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심리적 증상. 여기에는 물질중독, 물질금단, 물질 유도성 섬망, 치매, 정신병, 기분장애, 불안장애, 성기능장애, 수면장애등이 포함된다.
(1) 물질중독(substance intoxication) : 물질의 섭취나 노출에 의해 물질-특정적 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 물질의 사용 직후 또는 사용 중에 중추신경계에 대한 물질의 영향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상당한 행동적 또는 심리적 변화(호전성, 정서적 동요, 인지적 손상, 판단 손상, 사회적/직업적 기능 손상)가 나타남.
(2) 물질금단(substance withdrawal) : 장기간 사용하던 물질의 중단이나 감소로 인해 물질-특정적인 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물질-특정적인 증후군이 사회적, 직업적 및 다른 중요한 기능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한다.
코르샤코프 증후군(Korsakoff's syndrome) :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주의력, 기억력, 판단력 등의 인지적 기능을 손상시키며 심한 지속성 기억상실증을 보이는 경우.
태아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theory > 정신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에 나오는 변태종류 (0) | 2018.12.02 |
---|---|
우울증의 원인 (0) | 2018.12.02 |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0) | 2018.12.02 |
Sleep Disorders (0) | 2018.12.02 |
hoarding disorder (0) | 201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