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결과 부분은 주요한 결과(main results or findings)를 찾으면 된다. 결과 부분에서는 논의하거나 해석하지 않는다. 결과에서는 어떤 표, 어떤 그림이 적절한지를 찾아보아야 한다. 그림과 표는 단순하게 제시해야 하고, 중복되게 제시해서는 안된다. 그림과 표를 보고서, 이것이 무슨 결과를 의미하는지 금방..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9.09
method 방법에서는 도구와 관련된 것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어디에서 나온 척도인가? 이 척도가 믿을만한가? 그리고, 더 정교한 척도가 있는가?를 봐야 한다. 여기에는 인구통계학적인 정보도 들어가야 한다. 흔히, 결과(results)부분에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제공하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공하는 사람도 있..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9.09
설문지 돌리기 전에 확인해야 할 것들. 실험연구와 다르게 조사연구에서는 설문지를 돌려서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서 통계 분석을 하게 된다. 설문지는 주로 심리검사 척도로써 신뢰도와 타당도가 보장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신뢰도가 낮은, 타당도가 낮은 척도는 제외시키는 것이 좋고, 쓰지 않아야 한다. 좋은 척도는 [심리척도 ..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8.21
심리학관련 논문쓸 때 - 서론에서 보통 서론은 1. 서론 (1) 연구문제의 진술 (2) 연구의 중요성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5) 연구의 가정 이런 식으로 쓴다고 하는데, 꼭 이런 식으로 맞출 필요는 없다. 한국심리학회지 [일반]이나 산하 학회지를 보면, 서론이라는 말은 없고, 단지 처음부터 글이 써진다. 그리고나서 [방법]이라고 ..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8.18
심리학이 좋아? 상대방의 마음을 잘 알면 얼마나 좋을까? 아마도 독심술을 배울 수 있으면, 그 강좌는 대만원을 이룰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런 강좌는 없다. 흔히, 대학생들이 많이 수강하는 심리학 개론은 독심술 강의가 아니다. 나 또한, 심리학 개론을 들으면, 상대방의 마음을 잘 알고, 미래까지 맞출 수 있는..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6.02
심리학 논문 쓰는 법 지금 학회지에 올릴 심리학 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다른 분야의 논문 2편, 석사 때 심리학 관련분야 논문 1편. 이번에 박사과정을 하면서 학회지에 올릴 부논문을 하나 쓰고 있습니다. 심리학 논문은 재미있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어떤 분야는 큰 리포트 정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심리학은 조사.. statistics/심리학 논문 쓰는 방법 2008.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