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한테 선생님이 이 말 좀 전해주면 안될까요? 아이가 이렇게 말할 수 있다. 그럼, 상담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원칙을 말하자면, 상담자는 부모와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 중간매개자로 상담자를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 매이면 안된다. 모든 과정을 치료자가 중간매개하면 좋지 않다. "엄마한테 이 얘기 좀 해 주세요."..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비밀유지] 어떻게 알려야될 것인가? 아동이 자기자신을 해치려 한다든지, 타인을 해치려 한다든지, 타인이 자신을 해치려든다든지 등등의 위기상담인 경우, 상담자나 치료자는 보호자에게 그 사실을 분명히 알려줘야 한다. 이 때 비밀은 파기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비밀 유지에 있어서도 정말 중요한 것은 부모에게 ..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윤리와 법적 조항] 놀이치료후 누구에게 보고할 것인가? 어떤 학교 선생님이 한 아이를 데리고 왔다. 그리고, 이 아이를 치료해 달라고 한다. 치료자는 이 아이와 열심히 놀이치료를 하였다. 그리고 나서, 밖에 나와 학교 선생님께 아이를 보냈다. 그러자, 학교 선생님이 치료 시간에 아이가 무슨 말을 했느냐며 궁금해 한다. 이건 비밀이에요. 하..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여러 figure중 어떤 것이 더 좋을까? 텐트!!! 자신이 숨어 있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보드게임 저학년의 경우 괜찮고, 어떤 아이들은 다른 장난감보다 보드게임을 더 즐겨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생의 경우 블루마블은 사회성 형성에도 좋은 게임이다. 그 밖에 체스/바둑알/연령에 따른 신체적..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놀이치료에서 무기종류의 figure는 어떠한가? 어떤 상담자나 치료자는 무기 종류의 장난감은 없애야 한다고 말을 한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그런 것을 구비해서 공격성을 표출하고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도록 해주는 것은 중요하기에 무기 종류의 장난감을 갖다 놓아도 괜찮다. 하지만, 그 재질이 고무처럼 위험하지 않은 장난감을 ..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놀이치료할 때, 아이들은 사람인형을 좋아할까? 동물인형을 더 좋아할까? 아이들은 동물인형을 많이 가지고 논다. 투사적으로 나오는 것이 더 안전하니까. 그리고, 동물은 방어 가능하기에 동물인형, figure를 즐겨 사용한다. 사람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렇다. 동물인형을 갖다 놓을 때, 주의해야 할 것은 동물인형을 가족별로 갖춰놓아야 한..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놀이치료의 figure는 어떤 재질? 아이들이 부수기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쉽게 상하지 않는 도구이어야 한다. 자신이 부수기도 하기에 가능한 한 튼튼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레고를 놀이치료 방에 놓는 것이 좋을까? 레고를 가지고 놀이치료를 하면 치료자와 의사사통이 안될 수 있다. 블록은 여러 형태로 만들 수 있지만, 레고는 치료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레고는 시간이 오래 걸려 아이가 거기에 몰두하기에 치료적으로 도움이 안되고, 일정한 형태의 놀잇감을 만들기 때문에 창의성도 발휘되지 ..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놀이치료시 장난감의 분류는 어떻게 할까? 장난감은 종류별로 잘 정리해 놓고, 항상 같은 자리에 같은 장난감이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안정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이다. 공간을 분류할 때, 어떤 때에는 놀잇감이 많이 있다면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면, 천장끝까지 채워질 수 있는데, 그렇게 꼭 놀잇감이 ..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
놀이치료가 끝나면 장난감(figure)을 누가 치워야 할까? 놀이치료가 끝나면 장난감(figure)을 누가 치워야 할까? 아마도 정답은 없다. case by case일 것이다. 강박에 걸린 아이의 경우, 놀이치료가 끝나면 어지럽혔던 장난감을 반듯하게 치우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상담자는 오히려 어지럽혀 놓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ADHD 아동처럼 정.. theory/발달심리학 2018.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