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구인타당도(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

반찬이 2008. 2. 3. 22:21

구인타당도(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란 무엇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라.

구성타당도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이론적인 개념이 측정도구에 의해서 제대로 측정되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추상적일수록 구성 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은 더욱 더 어렵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 아동들을 대상으로 [좋은 엄마, 아빠는?]이라는 주제를 두고 조사를 한다면, ‘좋은’이란 의미를 도대체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구성타당도이다. 이처럼 측정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적 주고의 타당도와 측정하려는 개념의 속성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어서 구조 타당도 또는 개념 타당도라고도 한다. 전문가들에게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공인된 척도로 측정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기준 타당도로 검증을 받았다 해도, 해당 척도를 구성하는 개념이 이론적인 개념들에 부합하는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측정도구가 연구자가 의도한 요인구조를 나타내는가를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 크게 다중속성-다중측정 기법(multitrait-multimethod matrix technique)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이 있다.

1) 다중속성-다중측정 기법(multitrait-multimethod matrix technique)

이론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개념(다중속성)을 재는 두 가자의 척도(다중측정)가 동등한 수준이라고 가정하고, 동일 응답자에게 측정을 실시하여 측정치들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자의 척도가 타당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다중속성-다중측정 행렬 기법에는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의 두가지 방법이 포함된다.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 동시 타당도와 비슷한 방법으로 동일한 개념들을 재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들에 의해 측정된 각 개념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타당도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 수렴 타당도를 약간 변형한 것으로, 서로 다른 개념을 재는 두 가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 두 측정도구에 의한 결과치의 상관관계가 낮을 때,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방법으로 변별 타당도라고도 한다.

 

2)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요인분석은 여러 문항과 잠재적인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해서 상관관계가 높으면 같은 요인으로 묶고, 요인별로 상호 독립적(orthogonal)이 되도록 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서 구성 타당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증적 요인분석의 두 가지가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개념들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확증적 요인분석은 이미 충분한 선행연구를 통해 해당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가 된 후에 이들 개념이 정말 타당한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