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ssion/대학원입학기출문제 & 진로

후기, 기출문제, 등등..

반찬이 2008. 2. 3. 22:32

2004년 전기 대학원 입시 문제

 

<전공기초>

1. 인디언들이 화살끝에 발라 사용했던 독약인Curare가 어떻게 효과를 나타내는지 그 작용과정을 설명하시오.

 

2. 처리수준 이론을 설명하시오.

 

3. 오른손잡이 분리뇌 환자(right-handed split-brain patient)에게 가운데 초점을 응시하라고 한 다음, 자극을 아주 짧은 시간(약 0.15초) 동안 보여주었다. 이 환자에게 어떤 종류의 질문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예상되는 대답과 그 이유를 설명하라.

 

 

 

◎ → 고리 ◎ 열쇠

<초점응시> <0.15초간 제시>

4. 새로운 구강청정제를 판매를 목적으로 한 구매자의 태도를 바꾸기 위한 방법(전략/접근법)을 제안하면서, 그 이유를 사회심리학과 연관지어 설명하라.

 

 

<임상 및 상담심리학>

1. 다음에 대해 간단명료하게 답하시오. (2줄 이내로)

 

1) 지역사회 정신보건 운동

2) 의학적 모델(medical model)

3) Psy. D.

4) 함수분석(functional analysis)

5) 증가타당도(incremental validity)

 

2.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에 대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전망을 포함하여 논하시오.

 

3. 전이와 역전이의 개념을 설명하고, 어떻게 치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4. 정신분석과 인지치료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실험 및 인지심리학>

1. 일정한 장소에서 아편을 투여하는 것과 장소를 옮겨 다니면서 아편을 투여하는 것의 효과를 비교하고, 조건형성의 원리로 설명하시오.

2. 계열(서열) 위치효과란 무엇이며, 다중(이중) 기억체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설명해 보시오.

 

3. 색채지각의 삼원색설과 대립과정설 간의 상호관련성을 설명하시오.

 

4. 멀리 있는 사람을 친구라고 착각한 나는 가까이 뛰어갔다. 자세히 살펴보니 친구는 아니었다. 왜 착각하게 되었을까? 형태지각의 공간주파수 접근법을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친구로 착각한 사건을 설명하라.

 

 

<발달심리학>

1. 초기 애착이 아동의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 및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시오.

 

2. 공격성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하고, 각 이론의 입장에서 대처방안을 설명하시오.

 

3. Piaget의 인지발다링론에서 발달의 기제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4. 지적 성취를 위한 동기도 강하고, 대인관계도 잘하는 자녀로 키우기 위해서 부모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효과적인 훈육방식을 근거로 논하시오.

 

 

<산업 및 조직심리학>

1. 동기이론 중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을 설명하고, 이 이론의 강약점을 설명하라.

 

2. 수행 평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편향(errors & biases)을 설명하고,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라.

 

3. 변혁적 리더쉽(transformational leadership)과 거래적 리더쉽(transactional leadership)을 비교 설명하라.

 

<전공영어>

1. But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from this research is that the majority members in these studies show internalization - a change of private attitudes - not just compliances or public conformity. In fact, minorities sometimes obtain internalization from majority members even when they fail to obtain public conformity. In one study, groups of subjects read a purported summary of a group discussion of gay rights held by five undergrates like themselves. In all cases four discussants had favored one position and a minority of one had consistently favored the opposite position. In some discussions, the majority had been for gay rights and minority againsts; in other discussions, the majority and minority positions were reversed. After reading the summary, subjects voiced considerable public agreement with the majority view - regardless of whether it had been for or against gay rights - but written ratings revealed that opinion had shifted toward the minority position. (8점)

 

 

 

 

 

 

 

 

 

2. one of the more significant concerns of modern society is how to produce competent and self-respecting citizens. Faced with conditions of poverty, increasing expectations and changing values, the public has turned to psychologists and other behavioral scientists for guidance. The question is no longer how to avoid maladjustment and insecurity but rather how to generate those capacities that enable an individual to function effectively in his private, personal and public activities. This emphasis on the constructive aspects of personality marks a change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thinking about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Whereas earlier theories focused on difficulties that were already present and sought to determine how they arose, current efforts are concerned with the processes by which healthy and effective individuals develop. This "approach to health" orientation rather than the "avoidance of illness" one is consistent with views in the modern medical sciences. (8점)

 

 

 

 

 

 

 

 

3. The aggressive type looks like an exquisitely uninhibited person. He can assert his wishes, he can give orders, express anger, defend himself. But actually he has no fewer inhibitions than the compliant type. It is not greatly to the credit of our civilization that his particular inhibitions do not, offhand, strike us as such. They lie in the emotional area and concern his capacity for friendship, love, affection, sympathetic understanding, disinterested enjoyment. (4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면접시험 내용

 

아직 대학원 전형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 준비하시는 다른 분들께 도움 될까 하여 올립니다.

 

1. 이대 발달

 

-면접 보기 전에 짧은 영어 지문 주고 3분간 본 후(시간 정확히 재고 뺐어감--+),

면접 장소에 들어가서 읽은 내용을 정리해서 이야기 합니다.

 

저는 권위형 vs 수동형 부모를 가진 8-9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 인지적 능력, 사회기술에서 높은 수행을 보인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이것만 하고 끝났는데, 통계질문을 받은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예) 1종 오류란 무엇인가?

비교적 간단한 개념을 질문하시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2. 고대 임상

 

선생님 3분 이고, 다른 지원자 1명 총 2명이 선생님 연구실에 들어갑니다.

즉, 선생님 1분 당 지원자 2명 이고, 선생님은 선택권 없고, Random assignment 입니다.

- 선생님 마다 질문하시는 것이 다릅니다.

 

저는 김00 선생님께 질문받았는데 답변을 짧게 하라고 하셨습니다. 약 1분!

1. 자기소개 간단히

2. 여기 와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3. 표준화된 검사의 제작방법, 절차의 표준화란?

 

- 저랑 같이 들어가신 분이 나이가 많으셔서 대답을 잘 못하시자 선생님께서 면접과 상관없이 그 분께 면접에 대한 조언을 해주셔서 말씀드릴께요.

 

1. 연구 목표, 타겟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공략할 수록 좋다.

두리 뭉실하게 '로져스 이론 어떤 부분이 좋아서 상담을 하고 싶습니다' 보다는,

'이러 이러한 분야에서 저러 저런한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이 학교의 머머와 일치한다.'가 좋다.

 

2. 자신이 부족하고, 준비되지 못했다는 것을 말하지 말라.

겸손하게 '저는 심리학 전공이 아니라 많이 모르지만.. 부족하지만..' 등은 말하지 말라.

자신감 있게 열심히 준비했고, 공부했음을 어필해도 될까말까다. -_-+

 

3. 의욕적이고, 연구에 대한 열정 있음을 강하게 어필하라.

이 분야에 어쩌다 보니 관심을 갖게 되었고, 좋을 것 같고, 막연히 하고 싶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얘기다.

 

 

 

가대 대학원, 이대 대학원 준비를 하면서, 그리고 대학 4년 동안 이 커뮤니티의 자료들을 너무 잘 이용해왔습니다^^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제 제가 가진 정보를 나누어 드릴까 합니다^^

 

이대는 통계, 영어, 세부전공(발달심리)를 구술면접으로 봅니다.

구술면접은 교수님 3분:지원자 1명 의 시스템이구요.

교수님들이 편안하게 대해주셔서 비교적 불안해하지 않고 면접에 충실할 수 있는 분위기이더군요^^;

 

우선 면접에 들어가기 5분전에 A4용지만한 영어지문을 나누어 줍니다.

영어지문은 세부전공별로 나누어져 있지요. 즉, 발달심리에 대한 영어지문을 보게 되는 것이죠.

그 영어지문 한장을 여러지원자가 계속 돌아가며 보는 것이기 때문에 지문에 아무런 표시도 할 수 없고 그냥 눈으로만 읽어야 합니다 (이 점이 좀 싫더군요;;)

5분이 지나면 조교가 바로 지문을 가져갑니다. 이제 영어지문은 다시 볼 수 없습니다.

이젠 면접상황으로 들어가서 지문 내용을 요약해서 말하게 됩니다.

 

그리고 통계는 1종오류는 무엇인가? 이런것을 말로 물어보시더군요.

심리통계 개념정리를 해놓으시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본개념에 대한 대답을 잘 하면, "예를 제시하고 그것을 통계로 돌리는 법" 같이 적용을 잘 할 수 있는지도 보시더군요.

 

그담엔 전공에 대한 질문을 하십니다.

전 그냥 제일 관심있는 이론에 대해 설명하라고 하셔서 애착이론 설명했지요^^;;

사실 전 발달심리학 공부는 가대 준비하면서 족보 본게 전부라서..

별로 심층적인 설명은 못했거든요..

 

솔직히 통계 제외하고는 가대 준비하면 다 커버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전공영어도 직독직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르는 부분은 띄어넘고 설명해도 되거든요ᄏᄏ

전공도 필기가 아니기 때문에 가대 족보에서 공부한거 대충 통틀어서 열심히 설명했더니 되더군요^^;

 

사실 통계를 2학년때 한과목 들은거 다시 보려면 좀 괴롭긴 하지만..

계산과정같은거는 공부 할 필요 없고 개념만 보면 되니까..

할만은 합니다^^;;

 

이대라고 가대랑 특별히 다른 점은 없는 것 같아요.

그냥 가대 준비하시면서 거기에 통계만 더 준비하면 이대 시험은 무난히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전 통계자료는 여기 자료실의 비전공자를 위한 통계 스터디 자료를 뽑아서 계속 반복해서 봤는데 꽤 도움이 됐던 것 같아요^^

열심히 준비하시고 교수님의 질문에 대답만 하면(저도 대답을 하긴 했지만 완벽한 대답은 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많이 버벅거렸지요^^;;) 좋은 결과 있으실 것입니다!!

 

전 정말 둘 중에 하나만이라도 붙고싶어서, 두군데를 시험 봤는데요. 영어를 좀 꾸준히 한다음, 가대는 족보만 열심히 외우면, 이대는 거기에 통계만 더 보면 합격하더군요. 끝까지 자포자기 하는 마음만 안가지면 되는 것 같아요! 저도 막판에 자포자기하려다 다시 힘내서 공부했거든요. 다들 힘내세요!

 

 

 

 

고려대학교 임상 및 상담 전공 대학원 일반전형 안내

 

1.일반공통과목 참고교재

 

생리심리학 ① 뇌 : 신경과학입문 F. Thompson, 김기석 역, 성원사, 1989

② 생리심리학의 기초 Neil R. Carlson, 김현택 역, 시그마프레스, 2000

③ Physiology of Behavior Carlson N. R / Allyn and Bacon(출판사), 5/E

 

심리통계 ① 현대 통계학 박정식, 윤영선, 다산출판사, 2002

 

인지심리학 ① Cognitive Psychology, Solso, Robert L. / Prentice Hall(출판사), 6/E

같은 저자의 Ally & Bacon 출판사에서 나온 5판(5/E)도 있네요.

 

② 인지심리학 M. G. Wessells, 김경린 역, 중앙적성출판사, 1995

 

학습심리학 ① 학습과 행동, Paul Chance, 김기석 역, 교육과학사

같은 책이 시그마프레스에서도 나왔네요. 학습과 행동, Paul Chance, 박소연 외 역.

 

② 학습심리학 David A. Lieberman, 이관용 역, 교육과학사, 1998

 

발달심리학 ① 발달심리학

② Child Development & Personality (제7판)

 

성격심리학 ① Introdution to Personality? Walter Mischel / Harcourt Brace(출판사), 6/E

 

사회심리학 ① Social Psychology, David O. Sears, Letitia Anne Peplau,

Shelley E. Taylor / Prentice Hall, 11/E

지각심리학 ① Sensation and Perception, E. Bruce Goldstein / Thomson Learning(출판사), 6/E

 

주요 참고서적 : 심리학, Henry Gleitman, 장현갑 외 역, 시그마프레스

 

 

2. 전공과목 참고교재

임상심리 전공 ① 이상심리학 Gerald C. Davison,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

② 임상심리학, 솔 L. 가필드, 김중술 외 역, 법문사. 1989

③ 임상심리학, 이현수 저, 박영사, 2000

 

3. 영어시험

대학원 시험은 영어와 전공 두 과목으로 영어가 과락(60점)을 면하면 두 과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성적순으로 합격자를 정합니다. 영어 기출문제는 교내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영어는 단어시험과 독해위주로 출제됩니다. 참고로 단어 공부는 󰡒��거로󰡓��에서 출판된 단어책을 보시면 됩니다.

 

일반전형은 1년에 한 번. 즉, 봄학기(11월말)에만 실시하며 특별전형은 4월과 11월, 1년에 두 번 실시됩니다.

 

일반전형은 성적과 학부에 관계 없이 시험점수로만 평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공과 공통과목을 열심히 공부하시고 특히 주요 참고도서인 ‘심리학’ Henry Gleitman과 이상심리학을 반복 공부하세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다른 심리학 개론과 참고도서를 충분히 활용하셔야 합니다. 영어도 단어와 독해위주로 되도록 이면 난이도 높게 공부하세요. 그리고 기출문제는 시험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참고자료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2006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후기 시험문제

 

전공기초

1. thorndike의 실험과 skinner의 보상 실험의 차이와 유사점

2. 변연계의 기능(편도체 ,해마, 중격)

3. 정서와 관련된 실험 예시

- 입에 막대를 물고 만화책을 보게 한 실험

막대를 가로로 물고 있는 경우에 막대를 입에 물고(음료수 마실때처럼) 있는 경우보다 만화가 더 즐거웠다고 대답함. 이에 대해 설명

4.다수가 소수에게 영향 미치는 조건과 소수가 다수에게 영향 미치는 조건

 

전공 - 상담

1. 인본주의에서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 - 왜 필요한가?

2. 인지행동치료 기법

3.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징과 치료방법

4. 고전적 정신분석과 대상관계 이론 비교

전공영어

1. (짧고 쉬운 지문이었는데 잘 기억나지않음)

2. 애착유형 연구를 재연구한 과정과 제안 - 방법론적인 측면에 대한 내용(긴 지문)

 

면접

왜 상담사가 되어야 하는가

동기 위주로 질문

 

 

 

2006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전기 시험문제

 

전공기초

1. 뇌 연구에서 역할/ 기능을 연구하는 것을 기능편재화라고 한다. 이에 관련된 연구와 증거 3가지 열거하시오.

 

2. 도구적 조건화 이론에 따라 다음에 제시된 글을 분석/ 설명하시오.

아들이 늦게 귀가하니까 엄마가 잔소리를 계속한다. 그래서 아들이 일찍 귀가했더니 엄마 잔소리가 그쳤다. 늦게하면 또 잔소리했다. 그러다보니 아들의 귀가 시간이 점점 빨라졌다... 그런 내용입니다.

 

3. 번지점프하는 것을 반대 과정 효과(opponent process theory) 로 설명해 보시오.

 

4. 사회적 촉진과 사회적 태만을 비교 설명하시오.

 

상담전공

1. 인간중심치료에서 유기체의 가치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전이와 역전이를 설명하고 치료장면에서 이를 어떻게 ...해야 되나..?

 

3. 인지치료의 치료 기법과 치료 과정(?)에 대해 쓰시오.

 

4. 자신이 선호하는 치료기법을 소개하고(인지치료, 인간중심치료, 정신분석 제외), 치료장면에서 시작에서부터 종결과정까지를 기술하시오.

 

영어

1. 편견에 대한 것 나왔고... 편견이 공격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2. 동기화에 대한 것

3. 이것도 동기화에 대한 것같은데.. 기억이 ....

- 제 생각에 전공 기초나 전공은 예년 수준과 비슷했는데, 영어에서 변별력이 있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실제 시험이라 그랬는진 모르지만, 지문 읽을 때 도통... 기존의 배경지식과 매치가 잘 안되서 하는 수 없이 그야말로 해석만 했거든요. 답지 쓰고 나서 통 무슨 소린지 감이 잘 안잡히는 채로 ...음...

 

면접

1. 시험 잘 봤나?

2. 상담을 선택하게 된 동기? --- 나중에 어떤 일을 하고 싶나?

3. 상담자로서 자신의 성격의 장단점?

4. 상담 받아 본 적 있나?

 

 

 

 

2005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후기 시험문제

가톨릭대 상담 전공

 

(시험 본 직후 간단하게 요약해 놓은 내용입니다. 가대의 경우 과사무실에 가면 기출문제를 3000원[복사비]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전공기초

1. 뇌 연구 방법

2. 조작적 조건형성 적용

3. 얼굴의 정서표현, 생득적 or 후천적

4. 다수가 소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조건, 소수가 다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조건

 

전공

1. 공감, 상담에 미치는 영향

2. 증상형성의 일차적 이득, 이차적 이득

3. 인간중심치료에서 유기체적 가치화과정

4. 인지치료 치료절차와 치료기법

 

전공영어

긴 지문 두개, 짧은 지문 두 개였던 거 같습니다. 줄줄줄 번역하면 됩니당.

 

면접 (교수님 3분 이셨고, 학생들도 3명씩 들어갔었습니다.)

1. 상담, 과학인가 예술인가

2. '상담자는 연애를 잘해야된다.' 에 대한 견해

3. 실망하거나 좌절했을 때 해결방법

 

 

이화여대 상담 전공

면접보러 들어가기 전에, A4 용지의 2/3의 정도 분량의 영어지문을 주고, 3분간 읽을 시간을 줍니다. (스톱워치로 옆에서 시간을 재는 압박;;)

면접하러 들어가도 지문이 있습니다. 그러니 너무 긴장하지 마세요.

그리고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가대 영어지문보다 쉬웠습니다.

두 종류 중 한 가지 지문을 받게 되는데, 저는 "상담구조화"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면접 때 제가 받은 질문은...

두 독립표본 T검정과 두 종속표본 T 검정의 차이

검증력이란?

검증력을 높이는 방법

Freud학파와 Neo Freud 학파의 차이

대상관계이론의 핵심

 

이대의 경우

홍세희 선생님이 통계질문을 많이 하시던 편이었는데, 연대로 옮기셔서 약간의 변수가 있을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양윤, 김아영 선생님도 통계질문 만만치 않게 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