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공식을 적어보면,
▣ 공통점
분자 : X-μ(표본평균-모평균), 전부A+e이다.
분모 : error (오차)
즉, z에서 분모는 모집단의 표준오차이고, t에서 분모는 추정표준오차이다. 그리고, F는 (개인차+실험오차)라는 것. 이 세가지의 공통점은 전부 오차(error)라는 점이다.
▣ 차이점
분자 : z와 t는 표본평균과 모평균의 차이이지만,
F는 집단간 변량 (처치효과+개인차+실험오차)을 뜻한다.
분모 : z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알 때 사용하는 표준오차이고, t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를 때 사용하는 추정된 표준오차이다. F는 집단내 변량(개인차+실험오차).
'statistics > 심리통계학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der vs sequence // counter balancing에 대해 설명 (0) | 2008.07.15 |
---|---|
개략적인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처치효과검증해 볼 것! (0) | 2008.07.15 |
Two-way ANOVA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면? (0) | 2008.07.15 |
경향분석이란 무엇인가? (0) | 2008.07.15 |
ABC vs D // AD vs BC // A vs B (0) | 2008.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