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인지심리학

논문요약(2)

반찬이 2008. 10. 30. 09:41

이정모, 박희경 (2000).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은 필요한가. 한국 인지과학회 논문지. 11(3), 33-44

본 논문은 장기기억 안에 다른 기억의 여러 하위체계들이 존재한다는 쳬계이론을 바탕으로 Schacter와 Tulving의 중다기억 체계 모형, Squire의 장기기억 분류 모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두 기억 모형들의 주장과 그 증거들의 비교를 통해 외현기억 수행과 관련된 기억체계 이론의 논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 Schacter와 Tulving의 중다기억 체계 모형

기억에 대한 정보처리 접근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종류의 기억들이 서로 구성되어 하나의 모형을 이룬다. 이 모형은 절차기억, 지각점화, 의미기억, 일차기억, 일화기억의 순서로 종 발생적 순서와 개체 발생적 순서가 가장 빠른 것으로부터 가장 나중의 순서로 정해져 있는 기억의 위계적 조직화를 가정한다. 그리고, 각 기억체계간의 기억 과정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모형을 SPI 모형이라고도 하는데, 이 모형에는 일련의 이론적 가정이 있다.

① 이중해리는 이미 획득된 정보가 인출되는 상황에서만 가능하기에 의미기억과 일화기억간의 이중해리는 인정하지 않는다.

② 단일항목에 대한 인출과정에서 확률적 독립성이 PRS와 의미기억 또는 PRS와 일화기억간에 나타날 수 있다.

③ 새로운 정보 획득이 후기 체계에서 불가능한 경우에도 초기체계에서는 정보 획득이 가능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④ SPI 모형에서는 뇌에서 정보의 획득과 인출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정보의 획득에 관련된 뇌의 구조는 변연계라고 보고 있다.

⑤ SPI 모형은 전체적 기억 손상과 관련된 뇌 부분으로 알려진 내측두엽과 간뇌가 의미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화기억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본다.

 

 

 

2. Squire의 장기기억 분류 모형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의 구분이 타당한가라는 의문에 대한 대안으로 서술기억과 절차기억을 구분하였다. 이는 동물연구와 기억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은 구분되는 서로 다른 기억이며 인간의 기억장애는 장기기억의 장애. 그 중에서도 서술기억의 장애라는 것이 기본 가정이다. 또한, Squire는 서술기억이 외현기억과 유사한 개념인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서술기억은 뇌의 어느 부분에서 기능하는가?라는 질문에 해마가 포함된 측두엽이 그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3.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에 관련된 논쟁점들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이 적합한지, 서술기억이 더 적합한 구분인지에 대한 논쟁을 연구자들은 뇌의 기능에서 찾아보았다.

① Schacter와 Tulving의 기억모형에서 의미기억은 측두엽과 간뇌가 관련되어 있고, 일화기억은 전두엽과 관련된 것으로 가정되고 있다. 반면에 Squire는 측두엽과 간뇌가 사건과 의미에 관한 기억을 모두 포함하는 서술기억의 생리적 토대이며 전두엽은 부적절한 정보를 억제하는 기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② Vargha-Khadem과 그의 동료들은 내측두엽이 하나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서술기억에 포함되는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에 서로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해마는 일화기억에는 필수적이지만, 의미기억에는 필수적이지 않다고 보았다.

③ 기억장애 환자들이 과연 새로운 지식을 일반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이 있다. Tulving은 기억장애 환자에서 의미기억이 보존되어 있으며 수행으로 나타나는 의미기억의 손상은 손상된 일화기억이 의미기억 검사에 반영된 탓이라고 주장한다.

④ 전두엽의 손상은 다양한 기억장애를 유발하기에 이에 대한 논쟁은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구분에 대한 논란과도 관련이 있다. Schacter와 Tulving의 모형은 전두엽이 일화기억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반면, Squire는 전두엽이 부적절한 자극과 무관련 자극을 여과하는 억제적 통제 기능을 한다고 보고 있다.

 

 

 

4. 결 론

Schacter와 Tulving의 이론은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이 서로 구분되는 기억임을 주장한다. 반면에 Squire의 이론은 외현기억은 서술기억이며, 서술기억안에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이 포함되기 때문에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은 공통적 요소를 가진 기억임을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