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들의 관심은 병목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이론을 구분하다가 점점 과제수행에 요구되는 용량의 차이로 변동되었다. 즉, 용량 모형 구축이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이다. Kahneman(1973)은 용량이론을 제시하는데, 이는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용량)에는 한계가 있다는 가정을 제시한다. 그래서, 병목이론에서는 하나의 기제로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두 가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난다고 주장하나, 용량이론에서는 두 가지 과제수행이 가용한 최대용량 이상의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용량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의 제한된 용량을 상이한 활동에 분배(용량분배)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당히 가진다고 가정한다. 예를들어, 우리는 운전하면서 대화를 하지만, 이는 운전과 대화라는 두 가지 활동에 요구되는 정신적 노력이 우리가 가진 최대용량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Johnston과 Heinz(1978)는 주의가 유연하다는 것, 그리고 병목이론과 용량이론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주의에 대한 유연한 융통성 때문에 이 이론을 중다양식모형(multimode model)이라고 한다. 그들은 주의가 유연하다는 것 그리고 병목 이론과 용량 이론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감각 단서나 의미 단서에 반응하는 두 가지 선택적 청취 과제(주 과제)를 하는 동안 불빛 신호 확인(부가 과제)에 대한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선별적 주의는 용량을 요구하며, 요구되는 용량의 정도는 초기 선별 양식에서 후기 선별 양식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진다는 가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ory >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기억의 지속기간과 망각 (0) | 2008.12.26 |
---|---|
자동처리와 통제처리 (0) | 2008.12.26 |
주의의 선택이론 (초기선택모형, 약화모형, 후기선택모형) (0) | 2008.12.26 |
얼굴 인식 (얼굴역전효과, 안면실인증, FFA, 동족기억 우수성) (0) | 2008.12.26 |
상향처리 대 하향처리 (맥락효과, 단어우월효과) (0) | 200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