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가족치료

[스크랩] 전략적 가족치료

반찬이 2010. 12. 14. 11:03

전략적 가족치료 


1) 주요 개념

- 사이버넥스틱원리를 근거

- 에릭슨은 전략적 가족치료를 정교화 시키고 대중화 하는 선도 역할

- 행동과 배경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

- 전략적 가족치료의 요소

① 반복되는 행동과정과 행동 패턴에 초점

② 체계이론에 근거한 순화적 관점

③ 개입은 전략을 사용하여 실용적이고 계획된 방법을 지향

④ 저항을 극복하고 단기에 종결하기 위한 창의적 개입방법을 활용

⑤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며 개별 가족원의 정신 내적 과정에 대해 거의 고려하지 않음.


2) 정상 가족과 역기능 가족

- “정상성”이나 “비규범적, 병리적인 것”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반대

- 행동장애와 문제가 발달하는 방식

① 인공두뇌 이론 측면- 잘못 시도된 해결책에 의해 긍적적 피드백이 증폭함으로써 문제가   만성적으로 됨

② 구조적 측면- 가족원 상호간에 보호하거나 간접적으로 통하려 할 때 문제가 발생하며  문제는 오히려 가족체계 유지에 기여한다고 가정.


3)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 공통되는 치료목표는 제시된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것

- 치료과정에서 치료자들이 저항이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에 의존


⑴ MRI 모델의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 가족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찰 가능한 구체적 행동의 변화를 치료목표로 설정.

- 다음과 같은 전제를 토대로 개입함.

①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문제들을 잘못 다룸으로써 더욱 심각하고 어려워짐

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 지금까지의 방식을 반복하면 어려움이 계속 지속됨.

③ 문제를 지속시키는 행동을 제거하거나 변화시켜 준다면 문제는 해결되고 소멸될 것임

- MRI학파에서 치료과정은 내담자에게 문제와 관련된 새로운 행동을 하게 하는 것

- 어떤 경우는 그것이 상식에 어긋나더라도 그 일을 할 필요가 있음

- 치료자는 내담자들에게 완전히 다른 어떤 행동을 하게 할 수 있어야 함.


⑵ 헤일리 모델의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 해일리는 매우 행동지향적이며 MRI그룹보다 인식의 변화 대신에 행동을 중시

- 헤일리는 치료가 반드시 현재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는 믿지 않으며 구조적 문제들이 해결될 때가지 치료가 계속되어야 함.


4) 치료기법

- 가족상호작용의 연쇄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받기 위해 ‘관찰팀’을 활용

- 첫 면접에서 치료자들은 치료자의 문제에 대해 묻고 그 다음에 가족들에게 그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자세한 용어로 설명 함.

⑴ MRI 모델의 치료기법

- 6단계의 치료절차

① 치료 조직 소개

② 문제에 대한 조사와 정의

③ 문제를 유지시키는 행동 추정

④ 치료목표 설정

⑤ 행동적 개입의 선택과 시행

⑥ 종료단계

⑵ 해일리의 치료기법

① 초기 면접시 치료기법

② 지시기법(직접적 지시, 은유적 지시, 고된 체험기법)


5)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 MRI모델- 가족이 도움을 요청하는 문제에만 치료목표를 정하고 치료자 역할을 수행하며  문제의 인지와 반응을 변화시키는데 초점을 둠

- 해일리의 모델- 가족의 구조를 재조직하는 데 치료목표를

출처 : 행복 바구니
글쓴이 : 황금보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