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증과 반증 과학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과학인데, 과학의 방법이 흔들리니 혼란에 빠지게 된 것이다.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K. Popper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Popper는 이 문제를 다음의 두 가지를 구별함으로 해결했다. 진실을 입증한다(verify)는 것은 A 다음에 B가 일어나는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F-test의 민감성이 증가하는 이유 집단간 설계보다 집단내 설계에서 F-test의 민감성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집단간 설계의 경우에는 독립변인 이외의 다른 측면들에서의 집단간 동등성 보장의 실패가 실험오차(MSerror)를 증가시켜 실험의 민감성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아예 집단내 설계를 하면, 각 처치 요소를 동일 피험자에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합동대칭성 가정 일반적인 분산분석에서 사용되는 F-검정은 1) 정규성에 대한 가정 2) 등분산성에 대한 가정 3) 독립성에 대한 가정 이렇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지만, 반복측정된 분산분석의 F-검정에 필요한 가정은 추가적으로 연구대상 내에서 반복되는 인자수준들이 동일한 상관계수를 가져야 한다는 복합 대칭성(..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