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학원은 각 학교마다 특성화된 곳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고려대하면, 임상이고요, 연세대는 인지심리학이고요, 가톨릭대는 상담심리학이고,
이대하면 발달심리학입니다. 서울대는 상담전공 교수님이 안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성대는 조직심리학인가? (잘 모르겠네요.)그렇고요,,..
그러기에 대학원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전공이 특성화되어 있는 학교에 진학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특성화되어 있는 만큼 선배도 많고 취직도 유리하기 때문에 그렇지요.
비 심리학과 분야에서는
상담분야에서는 숙대가 아동학으로 유명한 것 같고요, 서울여대도 들어보니까
선배들이 짱짱한 것처럼 이야기하더라고요.
예를 들어, 인지가 강세인 학교에 가 보니
인지 전공 교수가 5명이나 되는데,
상담 전공 교수가 1명이라고 한다면,
상담 전공 학생들은 보나마나 찬밥이죠.
더구나, 인지는 실험심리학 분야라 프로이드 학문인 정신분석쪽은 아예 무시를 하는
심리학의 이과라
심리학의 문과라 할 수 있는 상담 분야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합니다.
전공선택할 때,
석사는 임상, 박사는 상담 이런식으로 전공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 적성에 맞는 전공 분야를 찾는 것이지요.
일반대학원 심리학과의 전공에는
심리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임상,
그리고, 상담, 인지, 발달, 조직, 학습(생물), 사회 등이 있습니다.
교육학과에는 교육심리라는 것도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admission > 대학원입학기출문제 &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와 통계만 잘하면~~~ (0) | 2009.04.29 |
---|---|
상담을 받고나서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한다? (0) | 2008.12.29 |
대학원에서 상담을 공부하고 나서의 진로? (0) | 2008.11.22 |
혹시 상담심리학을 공부하고자 대학원을 생각하신다면... (0) | 2008.09.21 |
심리학 개론 목차 정리 (0) | 2008.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