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ssion/대학원입학기출문제 & 진로

일반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전공선택할 때...

반찬이 2008. 11. 22. 21:43

일반대학원은 각 학교마다 특성화된 곳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고려대하면, 임상이고요, 연세대는 인지심리학이고요, 가톨릭대는 상담심리학이고,

이대하면 발달심리학입니다. 서울대는 상담전공 교수님이 안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성대는 조직심리학인가? (잘 모르겠네요.)그렇고요,,..

 

그러기에 대학원을 선택할 때, 자신의 전공이 특성화되어 있는 학교에 진학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특성화되어 있는 만큼 선배도 많고 취직도 유리하기 때문에 그렇지요.

 

비 심리학과 분야에서는

상담분야에서는 숙대가 아동학으로 유명한 것 같고요, 서울여대도 들어보니까

선배들이 짱짱한 것처럼 이야기하더라고요.

 

예를 들어, 인지가 강세인 학교에 가 보니

인지 전공 교수가 5명이나 되는데,

상담 전공 교수가 1명이라고 한다면,

상담 전공 학생들은 보나마나 찬밥이죠.

더구나, 인지는 실험심리학 분야라 프로이드 학문인 정신분석쪽은 아예 무시를 하는

심리학의 이과라

심리학의 문과라 할 수 있는 상담 분야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합니다.

 

전공선택할 때,

석사는 임상, 박사는 상담 이런식으로 전공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내 적성에 맞는 전공 분야를 찾는 것이지요.

일반대학원 심리학과의 전공에는

심리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임상,

그리고, 상담, 인지, 발달, 조직, 학습(생물), 사회 등이 있습니다.

교육학과에는 교육심리라는 것도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