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인의 구성개념
앞서 이론적 배경이 아주 중요하다라는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선행연구 결과에서
먼저 보여주는 상관관계를 통해서도 우리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답니다.
그러기에,
상관연구 결과도 쉽게 볼 것이 아니지요.
그러면, 변인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
우리는 상담을 전공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담 전공에 맞게 변인 찾는 것을 보고자 합니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먼저 봐야겠지요.
그러나,
설문지로 돌리는 것은 대다수 90%이상이 회귀분석으로 결과를 보게 됩니다.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인, 종속변인이라 하지 않고,
예언변인/결과변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결과에서 제시해줄 때에도 예언변인(예측변인), 결과변인이라고 기술해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이야기하지만,
그 외에도 회귀분석에서는 변인을
regressor / regressand
causal variable / effect (outcome) variable (원인 / 결과,효과)
predictor variable / predicted variable
explanatory (explaining) variable / explained variable
controlled variable / measured variable
manipulated variable / responding (response) variable 등으로도 말하기도 합니다.
상담의 효과를 보고자 할 때,
상담자가 젊고 말 잘하고,
이쁘든가 아니면 장동건처럼 멋있든지,
또는
상담자의 스펙이 화려하면 상담의 성과도 좋게 나오지요.
이러한 부분뿐만 아니라, 상담자가 어떻게 개입을 하는가 하는 부분도 모두 상담자의 변인입니다.
상담의 효과(DV)는 상담자 변인으로 인해 얻어지는 것도 있지만,
상담성과의 30%는 내담자 변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내담자의 성격,
대인관계 패턴, 문제의 심각성 등등...
상담연구이기에
독립변인(예언변인, 조절변인, 매개변인 전부 포함)으로 설정할 변인으로 상담자/내담자의 변인을 찾아보면 좋습니다.
내담자의 성격이라든지, 상담자의 개입 요인이라든지 이런 부분을 찾아보면 좋지요.
중요한 것은 어떤 변인을 주로 볼 것인가?
내 연구에서 어떤 변인에 초점을 두고 볼 것인가?
내담자의 변인을 주로 볼 것인가? 상담자의 변인을 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이 둘의 상호작용을 주로 볼 것인가에 따라
변인을 잡는 것도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변인을 잡았으면,
반드시 선행연구를 면밀히 살펴보십시오.
교수님들이 주로 말씀하시는 것을 보면,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은 보지 말라고 하시죠.
왠만하면,
학위논문중에서도 박사학위논문을 보시고요,
석사학위논문은 되도록이면 제외하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학진에 등재된 학회지의 논문을 많이 참고문헌으로 보시면 좋습니다.
물론, 석사학위논문이라도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라면 그래도 참고할만 합니다.
또한,
외국저널도(JCP와 같은) 면밀히 살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최소한 초록이라도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statistics > 구조방정식(AMOS를 중심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매개효과(4) (0) | 2009.01.10 |
---|---|
[스크랩] 매개효과(3) (0) | 2009.01.10 |
[스크랩] 매개효과(1) (0) | 2009.01.10 |
매개된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0) | 2008.12.07 |
[스크랩] What Is Mediation? (0) | 200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