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발달심리학

에릭슨 이론

반찬이 2010. 5. 5. 11:38

1. Erikson 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출제 예상>

 

 단계

 심리. 사회적 발달

 주요 관계

 주 역할

 덕목/악덕목

 시기

 1

 신뢰감 대 불신감

 어머니

 받고 : 주는 것

 희망/탐식

 영아기

 2

 자율성 대 수치심

 아버지

 참고 : 배설하기

 의지/분노

 유아기

 3

 주도성 대 죄책감

 가족

 창조 : 시도

 ★목적/탐욕

 유아기

 4

 근면성 대 열등감

 이웃, 학교

 솔선적 시도 : 협력적 시도

 능력/시기(질투)

 아동기

 5

 자아정체감 대 역할 혼미

 또래 집단

 자아 확인 : 상호 작용

 자기충실/자만

 청년기

 6

 친밀감 대 고립감

 이성 친구

 양보 : 자아 발견

 사랑/정욕

 성인 전기

 7

 생산성 대 침체감

 배우자, 사부

 출산 : 양육

 돌봄/무관심

 성인 중기

 8

 자아 통정 대 절망감

 인류, 자식, 손주

 실존 확립 : 현실 수용

 지혜/우울

 성인 후기

 

★Erikson 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암기 사항

1. " 중요한 타인" 과의 관계에 의해서 8단계의 사회성을 형성하게 된다.

2. 나를 둘러싸고 있는 "중요한 타인"에게 잘 해야 한다.

3. 심리적 결정주의를 반대했다.

4. 인간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5. 사회적, 문화적 환경을 중요시했다.

6. ego(자아) 강조했다.

 

105. 다음 <보기>는 Erikson이 주장하는 심리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방법이다. 어떤 성격의 발달과 가장 관련이 깊은가?(01년 초등)

*학생이 자신의 성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독립심과 책임감을 보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어려운 과제의 완성에 대한 기쁨을 경험하게 한다.

① 신뢰감    ② 생산성   ③ 근면성   ④ 정체감

보기는 초등학교 시기의 특징으로서 근면성과 관련이 있다.

 

138.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중, 각 단계에서 직면하는 위기와 단계별로 획득해야 할 기본 덕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03년 중등)

 

발달 단계

위기

(적응적・부적응적 대처양식)

기본 덕목

영아기

주도성 대 죄책감

능력

유(幼)아기

신뢰감 대 불신감

의지력

청년기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미

충성심

성인기

생산성 대 자아통정

지혜

정답 ③

①과 ②은 반대로 되어야 한다. ①은 신뢰감 대 불신감, ②은 주도성 대 죄책감, ④은 생산성 대 침체감이다.

 

161. 에릭슨(E. Erikson)의 자아 정체감(ego-identity) 발달에 관한 견해 중 옳은 것은? (04년 중등)

① 정체감 확립은 아동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정체감은 삶을 완성하고 회고하는 단계에서 확립될 수 있다.

③ 심리적 유예기는 정체감 형성을 위해 대안적인 탐색을 계속 진행하는 시기이다.

④ 정체감 확립은 부모나 교사의 권유에 따라 자신의 진로나 역할 방향을 성급히 선택한 상태이다.

 

정답 ③

① 정체감 확립은 자아형성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②은 노년기, ④은 정체감 유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