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Educational Psy.

Havighurst의 발달과업

반찬이 2010. 9. 16. 14:31

발달과업의 개념

 

여러분 자신의 생애기간 동안의 변화를 조사해보고 Collin Powell의 삶에서 일어난 일들을 읽어 봄으로서 여러분은 우리의 삶의 어떤 특정 시기에 중대한 일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업을 완전히 수행한다는 것은 만족을 주고 새로운 도전을 하도록 우리에게 용기를 준다. 반면에 과업수행에 장애가 따르면 미래의 성취와 목표를 향한 진보를 느리게 한다. 생애기간동안 일어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제로서 Robert Havighurst(1952, 1972, 1982)는 생애기간동안 일어나는 중요한 발달과업들을 알아냈다. 이들 발달과업에 관한 우리의 해석이 자연히 여러해가 지나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서 바뀌더라도 Havighurst의 발달과업은 우리가 일생을 통해 계속 발전해 간다는 믿음에 대한 영원한 증거를 제공해 준다.

Havighurst(1972)는 발달과업을 우리 삶의 어떤 특정 시기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하는데 그것의 성공적인 성취는 이후의 삶에서 행복과 성공을 가져온다. 반면에 실패는 불행과 사회적 불만, 그리고 이후의 과업에서 장애를 가져온다. Havighurst는 약간 다른 연령구분을 활용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구분은 이책에서 사용된 것과 매우 비슷하다. 그는 발달과업에 있어서 세가지 動因을 인정하고 있다.(Havighurst,1972)

◇ 육체적 성숙에서 오는 과업. 예컨대 걷고 말하고 성인기에 이르러 이성에게 마음에 들도록 행동하는 법 등을 배우는 일. 중년에 들어서 갱년기에 적응하는 것 등을 들수 있다.

◇ 개인적 동기에서 오는 과업. 예컨대 인격의 성숙으로부터 나타나며 개인의 가치와 열망의 형태를 취하는 과업, 즉 직업적 성공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과업이다.

◇ 사회의 압력에서 그 동기를 찾을 수 있는 과업. 예컨대 책입있는 시민의 역할을 읽거나 배우는 과업이다.

우리의 생물학적-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 모델에 따르면, 첫 번째 동기는 모델의 "생물학적"부분과 일치하고 두 번째는 "심리적"부분, 세 번째는 "사회적"부분과 일치한다.

Havighurst는 여섯가지의 주요 연령기간을 알아냈다. 즉 영유아기(0-5세), 중간아동기(6-12세), 청소년기(13-18세), 성년초기(19-29세), 성년중기(30-60세), 성년후기(61세-)

발달과업개념은 오래되고 풍부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그것을 수용한 이유는 일부는 우리의 삶에서 감정에 반응하기 쉬운 시기를 인식했다는데 있었고 또 일부는 Havighurst의 과업개념의 실제적 성질에 있었다. 나이 어린 어떤 사람(11세라고 보자)이 그 시기의 과업들 중 하나(적절한 성적 역할을 배우는 일)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앎으로써 어른들이 어린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 어린이가 과업을 완전히 학습하는 일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좋은 예는 중간아동기의 중요한 과업인 개인적인 독립을 얻는 것이다. 어린이 들은 이 시기에 권위를 시험하는데 만약 교사와 부모가 이것은 발달에 있어서 정상적이고 심지어 필요한 측면이라고 인식한다면 그것을 도전이라고 보는 경우와는 다른게 어린이가 반응한다(Hetherington and Parke,1986).

예를 들면, Havighurst의 성인중기의 발달과업을 주목해 보자, 그 중의 하나는 부모로서 어린이들로 하여금 행복하고 책임있는 어른이 되도록 도와주어야 하는 것이다. 어른들은 보통 그들 어린이를 "방임"해 두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한다. 부모들은 적당시간 이상으로 아이들을 그들 곁에 두고 싶어한다. 어린이들의 이익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부모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도 부모들은 부모의 요구와 아이들의 요구를 적절히 조화시켜야한다. 남편과 아내가 배우자 이면서 동시에 친구이며 놀이상대가 된다면 일단 그렇게만 된다면 그들은 그들의 삶에서 행복한 시기에 접어들 수 있다.

발달과업개념에 중요성을 부여한 것은 Havighurst 혼자가 아니었다(Cole, 1986;Goetting,1986;Cristante & Lucca,1987;.Cangemi and Kowalski,1987). 예를 들면 Goetting(1986)은 형제들의 발달과업을 조사하여 우애와 정서적 도움과 같은 일생동안 지속되는 과업들을 알아냈다. 다른 과업들은 생활환(life cycle)의 특정한 단계, 즉 아동기 때의 보살핌과 이후에 나이든 부모의 봉양과 같은 일과 관련되는 것 같다.

  

 ---------------------------------------------------

 

 *******   The Development Tasks    *******

 

 

Source : From Robert Havighurst,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3d ed. Copyright ⓒ 1972

David McKay Company, Inc., a division of Random House, New York. N.Y. Reprinted by permission.

 

 

발달과업을 알아내어 완수함으로써 변화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우리가 이해하는데 하는데 도움이 된다. 생애기간의 변화를 이해하는 또다른 방법은 개인의 목적이 성취되는 경우에 만족되어야 할 요구(need)를 알아내는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요구가 하는 역할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Abraham Maslow의 연구와 그의 요구체계를 검토해보자.

 

생애기간을 통한 요구

고등학교 고학년인 Amy가 그녀의 영어수업이 대학공부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걱정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다시 말하면 이 학생은 그녀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느다고 즉, 요구만족이 결여되어 있다고 믿고 있다. Maslow의 가장 유명한 개념들 중의 하나는 자아실현개념이다. 자아실현은 우리가 우리의 능력을 우리의 잠재능력의 한계에 까지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Maslow & others,1987). 만약 사람들이 그들의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확신하면 그들은 자아실현의 길에 들어 선 것이다. 자아실현은 성장개념이다. 그리고 개인은 그들이 기본적인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이러한 목표(물질적, 심리적)를 향해 나아간다.

 

요구만족

자아실현을 향한 성장은 요구체계의 만족을 요한다. Maslow의 이론에는 다섯가지의 기본적인 요구가 있다. 그것은 생리적 요구, 안전요구, 사랑과 소속의 요구, 존경요구, 자아실현요구 다섯가지이다. 그림1.3은 요구체계의 아래에 있는 요구들이 위에 있는 요구와 보다 근본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요구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 생리적 요구:배고픔이나 수면과 같은 생리적 요구는 우선적이며 동기의 기초이다. 그들이 만족되지 않으면 그 이외의 모든 것은 관심밖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아핌을 자주 먹지 않거나 영양실조로 고생하고 있는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활발하지 못하고 움츠려 든다. 그들의 학습능력은 매우 저하된다. 주의:이것은 특히 그들의 몸무게에 매우 민감한 청소년에게 그렇다.

◇ 안전요구:안전요구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즉, 안전, 보호, 마음의 안정, 공포와 불안으로부터의 자유, 조직과 한계의 요구.

◇ 사랑과 소속의 요구:사랑과 소속의 요구는 가족과 친구들의 요구를 말한다. 건강하고 진취적인 사람들은 외로움과 고립감을 피하고 싶어한다. 집단의 일부가 아니고 외로움을 느끼고 소속감이 결여된 사람들은 보통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 그래서 삶의 성취에도 영향을 미친다.

◇ 존경요구:존경요구는 개인으로서의 우리와 우리 자신의 견해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이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호의적인 판단을 바란다. 물론 그 판단은 정직한 성취에 근거해야 한다. 우리 자신의 적성에 대한 인식은 다른 사람들의 반응과 결합되어 자부심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적성을 갖게되고 다른 사람들로 부터, 그리고 우리가 한 일에서 가지는 우리 자신의 만족감으로 부터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를 발견하게 된다.

◇ 자기실현요구:Maslow에 있어서 자기실현이 의미하는 바는 보다 낮은 정도의 요구가 충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지 못하고는 참지 못하는 경향을 말한다. Maslow(Maslow & others, 1987)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음악가는 음악을 해야하고 미술가는 그림을 그려야 하고 작가는 글을 쓰야 한다. 요구들이 어떤 형태를 취하는가 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즉 어떤 사람은 훌륭한 부모가 되고 싶어할 수 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훌륭한 체육 선수가 되고 싶어할 수 도 있다. 직업과는 관계없이 인간이 무엇이 될 수 있든 그들은 그렇게 되어야 한다(Maslow & others,1987, p.22).

이들 기본적인 요구와 매우 유사한 것이 인지적 요구(알고 이해하고 싶어하는 것)와 심미적 요구이다. 그러나 Maslow가 지적하는 바와 같이 우리는 이들 요구와 기본적인 요구간의 구분을 칼로 자른 듯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즉 그들은 밀접히 서로 관련되어 있다(Maslow & others,1987). 누구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aslow의 매우 지각있는 분석은 우리에게 인간행동, 특히 생애기간 동안 발달의 변화에로 이끄는 요구들에 대한 풍부하고 전체적인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