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곡선형관계를 검증하는 방식을 설명하시오 →곡선형관계(curvilinear relationship) : →단순회귀모형은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의 관계가 직선형이라는 가정을 하지만, 중다회귀모형에서는 비직선형 관계로 모형화한다. 중다회귀에서는 이러한 곡선형 관계는 직선형관계와 곡선형 관계가 조합된 관계로 개념화됨. →선형모형(liner model):계수(parameter)의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Experiments with nested factors(nested designs, hierachical designs) 한 실험에서 두 개 이상의 요인들의 효과를 검증하는 경우, 그 요인들의 수준을 조작하는 방식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교차요인설계(crossed factors design)과 둥지요인설계(nested factors design)이다. 교차요인설계란 한 요인의 모든 수준들이 다른 요인의 각 수준에 모두 존재하도록 실험조건들을 조작한 것으..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의 차이 =>주효과는 한 독립변인의 각 수준들간의 평균차이를 말하고, 상효작용효과는 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다른 독립변인의 각 수준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주효과는 일원설계, 이원설계 모두에서 나타나나 상호작용효과는 이원설계 이상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보통 상호작용효과가 나..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일방검증 vs 양방검증 →뚜렷한 차이는 영가설을 기각할 때 이용하는 준거에 있다. 일방검증은 ‘약물 A가 음식소비량을 줄일 것이다’라는 가설과 같이 방향예측을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표본집단과 모집단간에 차이가 작아도 그 차이에 구체적인 방향이 있다면 영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그러나 영가설을 너무 쉽게 기..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completed randomized design에서 model 독립변인의 수준이 어떠한가에 따라서 random model, fixed model, mixed model로 구분되며, choice of error term이 달라진다. - 독립변인의 수준이 결정된 경우는 fixed model이고, 독립변인의 수준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를 random model이라고 한다. 심리학 실험에서는 대부분이 fixed model이다. 각 효과의 유의도 결정은 실험..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structural model (Linear additive model) one-way ANOVA : SST = SSa + SSe, Xi = µ(뮤) + A(treatment) + e two-way ANOVA : SST = SSa + SSb + SS뮤 + SSe , Xi = µ(뮤) + A(treatment) + B(treatment) + AB(interaction effect) + e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two-way (double) interaction, three-way (triple) interaction factor가 2개, 3개인 경우의 상호작용 효과(ANOVA) factor의 수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 factor의 수가 3개 이상일 경우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simple main effect (test of simple effect) 한 수준에서 다른 수준(변인)의 효과를 보는 것. 표에서 보면, m2 - m1 = B1 수준에서의 A의 simple effect. m4 - m3 = B2 수준에서의 A의 simple effect. A1 A2 B1 B2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ordinal interaction vs disordinal interaction - ordinal interaction : 두 직선의 순서가 맞는 상호작용. B1과 B2가 교차하지 않아서 둘 간의 상, 하관계가 일정한 것. - disordinal interaction : 두 직선이 서로 교차하므로, 둘 간의 상, 하 관계가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