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연구방법론 문제 오늘 아침에 중간고사 시험보았습니다. 좀 안답시고 공부를 안 했더니 죽을 쑤었네요. ㅠ.ㅠ 오늘 나왔던 심리학 연구방법론 문제(학부)들입니다. 교재는 [심리학 실험법] 시그마프레스. 입니다. 변산성을 취급하는 방법 두 가지는 무엇인가? 상관적 관찰로 인과관계를 볼 때 생기는 문제점 두 가지는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10.21
dft, dfw, dfb 어떤 실험에서 6개의 실험집단에 각각 12명씩의 피험자들이 할당되어 실험되었다. dft, dfw, dfb을 구하여라. dfw= 72-6=66 dfb= 6-1=5 dft= 72-1=71 11. 어떤 실험에서 첫 번째 실험조건에서는 6명, 두 번째 실험조건에서는 4명, 세 번째 실험조건에서는 9명의 피험자들이 할당되었다. dft, dfw, dfb을 계산하시오. dfw= 19-3=..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표준정규분포와 t분포의 차이 →표준정규분포는 모든 측정치를 표준점수로 계산하여 평균 ‘0’이고 표준편차 ‘1’을 가진 정규분포로 변화시킨 분포곡선으로, 각 측정치에 대한 Z 점수는 편차점수(각 측정치와 평균간의 차이)를 표준편차(편차들의 평균)로 나눈 값이다. 즉, 원점수 분포의 값과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모평균과 표..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F분포의 특징 →표준정상분포가 양과 음의 값을 갖는 것과는 달리 F분포의 보양은 분자와 분모의 자유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0과 +∞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F분포는 한 개의 최빈값(mode)를 중심으로, 정적으로 편포된 비대칭적 양상을 지닌 분포이다. 이 분포의 특징은 먼저, 두개의 변량 추정치(비의 분..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between subjects와 within-subjects design between subjects와 within-subjects design을 비교 설명하시오. [집단내 변량(처치내)와 집단간 변량에 대해 설명하시오. 변량분석에서 집단간과 집단내의 변량을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독립변인 A B 처치1 56 50 처치2 48 46 n=2, X1=52, X2=48 집단내 변량(처치 내) : A집단안에서 보면, 서로 점수가 다르다(56점과 48점).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평균의 차이검증을 변량분석에서 하는 논리 평균의 차이검증을 변량분석에서 하는 논리는 무엇인가? 독립표본측정 실험에서는 각각의 처치조건에 독립된 표본이 취해진다. 같은 모집단에서 뽑은 것이라도 두 표본이 동일할 수는 없으므로 각각의 표본들이 다른 점수와 다른 평균을 가졌다고 가정한다. 변량분석의 목적은 표본간의 차가 단지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ANOVA assumption ANOVA assumption은 무엇이며, 이것이 위배되었을 경우 생기는 문제점과 해결점을 제시하시오. ① 정규성 가정(normality assumption) 종속변인에서 관찰된 분포가 모집단에서 normal 해야 한다. 즉, 정상분포를 이루어야 한다. 모집단이 정상분포라면, 여기에서 얻은 sample도 정상분포라고 가정한다. 문제점 : ② 관..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t-test를 하는 경우 생기는 문제점 세 집단의 평균치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하는 경우 생기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 변량분석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t 검증은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두 집단씩 세 번을 비교해야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때, 초래되는 문제점은 ① 연..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treatment effect와 experimental error 변량분석은 한 가지 이상의 독립변인을 조작하고, 두 가지 이상의 처치 수준을 포함하고 있는 실험에서 이들 처치집단 평균치들간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이는 평균치들간의 차이를 밝혀내기 위해 평균을 사용하지 않고 변량을 분석/비교함으로..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
simple regression의 목적 목적1. 한 개의 DV와 한 개의 IV사이의 선형관계를 파악하는 것 목적2. 하나의 IV를 이용해 DV의 측정치를 예측하는 것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