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이해 (단어재인, 문장이해, 담화이해) 1) 단어재인 단어를 구별할 때, 3가지의 뚜렷한 특징들이 있는데, 그것은 음운론적 특징(phonological features-발음할 때, 사용된 음소), 철자상 특징(orthographic features-시각적인 형태상의 철자), 문자소이다. PET 연구에서는 좌반구의 특별한 영역이 영어의 철자 규칙을 따르는 단어나 유사단어에 반응한다는 ..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의미망모형과 세부특징 비교모형 의미망모형과 세부특징 비교모형 (인지적 경제성, 문장검증과제, 범주크기효과) 인지적 경제성을 강조하는 의미망 모형(semantic network model)은 의미기억이 많은 상호연결을 갖는 그물망 같은 구조로 조직된다고 본다. 우리가 정보를 인출할 때는 관련 개념들로 활성화가 확산된다. 망은 개념을 조직화하..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목격자 증언 (오정보효과, 이식기억, 회복된 기억) Loftus, Miller와 Burns(1978)는 30장의 슬라이드를 보여주고 나서 그것과 일치하는 정보와 불일치하는 정보에 대해서 물어보는 과제를 가지고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이 매우 쉽게 목격 내용을 왜곡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격자 증언의 오류는 흔히 오정보 효과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원천 모니터링과 오기억 (DRM 패러다임, 접합오류, 작화) 원천 모니터링(source monitoring)은 기억의 저장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정보의 출처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정보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면 여기서 오기억이 발생한다. 결국,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 잘못된 기억을 산출하는 기억 왜곡 현상이 원천 모니터링의 실패에서 비롯된다고 Johnson과 No..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처리수준, 정교화, 전이적합성 처리, 독특성 Craik과 Lockhart(1972)는 처리수준(levels of processing)이라는 기억이론을 발표한다. 이 이론은 특정 단어를 재생하고 못하고는 그 단어의 부호화에 이용된 조작의 종류에 달려 있다고 본다. 즉, 처음의 지각 또는 시연과정에서 강조된 조작이 무엇이냐에 따라 파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Baddeley의 작업기억모형 단기기억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면서 단기기억은 더 이상 되뇌기를 하는 단순한 임시 저장고가 아니며, 음운적 부호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단기기억은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는 좀 더 복잡한 모형으로 제안한 심리학자가 바로 Baddeley이다. 그에 따르면 작업..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단기기억의 지속기간과 망각 단기기억의 정보는 되뇌기(암송)을 통해 보존하지 않는 한 빠르게 상실된다. 단기기억에서의 망각 속도는 Peterson과 Peterson(1959)에 의해 정립되었다. 실험참가자에게 알파벳 CHJ를 들려준 다음, 506이라는 숫자를 제시한다. 그러면 참가자는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3씩 빼나가는 계산을 해야 한다. 신호는 ..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자동처리와 통제처리 자동처리와 통제처리 (자동처리 준거, Shiffrin 등(1977), Hasher 등(1979), Logan(1988)) 1970년대에 이르러 주의의 또 다른 측면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것은 인간이 주의와 관련하여 두 가지 수준의 처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첫째, 인간은 쉬운 과제와 친숙한 항목에 대해 자동적 처리(automatic proces..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주의의 용량이론 (Kahneman의 용량모형, 중다양식모형) 연구자들의 관심은 병목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이론을 구분하다가 점점 과제수행에 요구되는 용량의 차이로 변동되었다. 즉, 용량 모형 구축이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이다. Kahneman(1973)은 용량이론을 제시하는데, 이는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용량)에는 한계가 있다는 가정을 제시..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
주의의 선택이론 (초기선택모형, 약화모형, 후기선택모형) 우리는 여러 정보 중에서 어떤 것은 무시하고 특정 정보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한다. 이와 같은 주의의 선택이론에 대해서 Cherry(1953)는 칵테일 파티 문제(cocktail party problem)라고 언급하면서 방해가 되는 다른 대화가 존재하는 가운데 하나의 대화를 계속 쫓아가는 과정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Che.. theory/인지심리학 200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