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인지심리학 77

목격자 증언 (오정보효과, 이식기억, 회복된 기억)

Loftus, Miller와 Burns(1978)는 30장의 슬라이드를 보여주고 나서 그것과 일치하는 정보와 불일치하는 정보에 대해서 물어보는 과제를 가지고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이 매우 쉽게 목격 내용을 왜곡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격자 증언의 오류는 흔히 오정보 효과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원천 모니터링과 오기억 (DRM 패러다임, 접합오류, 작화)

원천 모니터링(source monitoring)은 기억의 저장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정보의 출처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정보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면 여기서 오기억이 발생한다. 결국,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 잘못된 기억을 산출하는 기억 왜곡 현상이 원천 모니터링의 실패에서 비롯된다고 Johnson과 No..

주의의 용량이론 (Kahneman의 용량모형, 중다양식모형)

연구자들의 관심은 병목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이론을 구분하다가 점점 과제수행에 요구되는 용량의 차이로 변동되었다. 즉, 용량 모형 구축이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이다. Kahneman(1973)은 용량이론을 제시하는데, 이는 정신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능력(용량)에는 한계가 있다는 가정을 제시..

주의의 선택이론 (초기선택모형, 약화모형, 후기선택모형)

우리는 여러 정보 중에서 어떤 것은 무시하고 특정 정보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한다. 이와 같은 주의의 선택이론에 대해서 Cherry(1953)는 칵테일 파티 문제(cocktail party problem)라고 언급하면서 방해가 되는 다른 대화가 존재하는 가운데 하나의 대화를 계속 쫓아가는 과정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