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US 짝짓기의 횟수 일반적으로 CS와 US가 함께 나타나는 일이 자주 있을 수록 조건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나 처음 몇 번의 연합(즉 시행)이 나중의 연합들보다 더 중요하다. 따라서 파블로프식 학습은 가속도가 감소해 가는 곡선을 따른다. 생존의 관점에서 보면 CS-US 짝짓기의 곡선적인 관계는 매우 합리적..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시행간 간격 연합한 것을 다시 반복하는 간격이다. 시행간 간격(intertrial interval)은 1초에서 몇년까지로 다를 수 있다. 종을 치면 개가 침을 흘리도록 훈련시킨다고 할 때, 이런 훈련을 열 번 되풀이 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열 번의 시행은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어야 할 것인가? 일반적으로 긴 간격이 짧은 간격보다 ..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조건반응의 소거 US없이 CS를 계속해서 제시하는 절차를 소거(extinction)라고 부른다. 다른 의미에서 보자면 연합되지 않는 것 자체를 학습한다고 할 수 있다. 소거의 결과로 CR이 전혀 안먹히면 (혹은 조건형성 이전보다 덜 일어나면) CR이 소거되었다고 말한다. 언뜻보면 소거는 망각과 무언가 비슷해보인다. 그러나 망각..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자극대체이론 쉽게 말하면 US->UR 인데 US의 자리를 CS가 대체함으로써CR이 나온다는 이론이다. 이는 파블로프가 생각한 것으로써, 자극대체이론 또는 자극치환이론(Stimulus Substitution Theory)라 부른다. 자극대체이론의 결정적인 문제점은 CR과 UR이 항상 같지는 않다는 증거가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조건반응은 U..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준비반응이론 US가 UR을 일으킨다고 할때 US와 짝지어진 CS는 US를 준비하도록 하는 신호작용을 한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개가 종소리를 듣고 침을 흘리는 반응은 개로 하여금 곧 주어질 먹이에 대해서 준비시킨다. 즉, 먹이를 소화시킬 준비를 하는 것이다. 또는 자신을 한 번 문 적이 있는 개를 보고 공포반응을 나..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공포 공포뿐만 아니라 사랑, 증오, 혐오를 비롯한 우리의 정서반응 대부분은 학습되며 그 학습은 주로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John B. Watson은 이를 조건 정서반응(conditioned emotional reponses)이라고 불렀다. 그의 연구는 정서 장애, 특히 공포증이라 불리는 비합리적인 공포의 이해와 치료를 대..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편견 고정관념은 어떤 사상이나 정보에 대해 갖고 있는 사고의 틀로, 본래 나쁜 뜻이 아니다. 선입견은 고정관념의 일부로 어떤 것에 대해 미리 견해를 갖고 있는 것을 말하며, 편견역시 고정관념의 일부이긴 하지만 의견 중에서 치우친 것으로,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편견을 갖는다는 것은, 가장 ..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광고와 조건형성 광고에 많이 쓰이는 기법은 보통 상품과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3B를 연합시키는 것이다. (3B : Beautiful, Beast, Baby) 이때 상품은 중성자극(연합후에는 CS)이 되고 3B는 US이다. 1982년 Gorn이 실시한 실험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영화 그리스(Grease)에 나오는 곡조를 들려주거나인도 전통음악을 들려주었다. (Gor..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성도착증과 학습심리학 성도착증에는 관음증(voyeurism :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나체인 사람을 보는 것 또는 성행위 중인 사람을 보는것. 당신에게 관음증이 아예 없다고 부정하지 말 것. 텔레비젼에 나오는 몰래카메라 같은 것이라던가, 연예인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데 무서워 하는 모습을 머리 바로위에 붙여놓은 카메..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
학습심리학 용어 정리 제1장 서설: 변화를 학습하기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한 종의 생존에 기여하는 특성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특성은 사라지는 경향 돌연변이(Mutation): 유전자에 일어나는 어떤 변화. 생식 세포 내에 변경된 유전자가 생기면 이 돌연변이가 그 자손에게 유전된다. 반사(Reflex): 특정 사건과 그 사건에 대.. theory/학습심리학 201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