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타당도(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 구인타당도(구성타당도, construct validity)란 무엇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라. 구성타당도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이론적인 개념이 측정도구에 의해서 제대로 측정되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추상적일수록 구성 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은 더욱 더 어렵다.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요인 설계의 장점 단순실험설계방안들은 하나의 실험변인의 변화에 따른 효과만을 알아볼 수 있는 방안들이다. 그러나 때로는 두 개나 그 이상의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할 수도 있고 또는 이들 독립변인을 다시 여러 수준으로 나누어서 이들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적으로..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입증과 반증 과학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과학인데, 과학의 방법이 흔들리니 혼란에 빠지게 된 것이다.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K. Popper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Popper는 이 문제를 다음의 두 가지를 구별함으로 해결했다. 진실을 입증한다(verify)는 것은 A 다음에 B가 일어나는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F-test의 민감성이 증가하는 이유 집단간 설계보다 집단내 설계에서 F-test의 민감성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집단간 설계의 경우에는 독립변인 이외의 다른 측면들에서의 집단간 동등성 보장의 실패가 실험오차(MSerror)를 증가시켜 실험의 민감성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아예 집단내 설계를 하면, 각 처치 요소를 동일 피험자에 ..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합동대칭성 가정 일반적인 분산분석에서 사용되는 F-검정은 1) 정규성에 대한 가정 2) 등분산성에 대한 가정 3) 독립성에 대한 가정 이렇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지만, 반복측정된 분산분석의 F-검정에 필요한 가정은 추가적으로 연구대상 내에서 반복되는 인자수준들이 동일한 상관계수를 가져야 한다는 복합 대칭성(..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유층표집(층화표본추출)과 군집표집 󰁴� 유층표집(층화표본추출) 유층표집(층화표본추출)은 모집단을 동질적인 몇 개의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모집단의 모든 구성 성분을 다 포함하고 싶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써,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연구할 때, 1,2,3학..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단순 무선표집 모집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원이 추출될 확률이 모두 동일하게 주어지는 표집이다. 모집단이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고, 완전한 목록을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추첨이나 난수표에 의한 추출이 여기에 해당된다. 모집단의 모든 요소가 동일하며 독립적인 추출의 기회를 가지므로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추..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신뢰도가 있는 검사는 타당도가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신뢰도가 없는 검사는 타당도가 없다. 타당도가 있는 검사는 신뢰도가 있다. 타당도가 없는 검사는 신뢰도가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다.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단순상관계수(r) 단순상관계수(r)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기본가정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단순상관계수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상관계수 r의 가정과 해석 1) 선형성 두 변수 X와 Y는 선형을 가정하여 곡선보다 직선적 관계가 있을 때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난다. 2) 등분..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
‘평균으로서의 회귀현상(regression toward the mean)'을 상관계수(r)와 ‘평균으로서의 회귀현상(regression toward the mean)'을 상관계수(r)와 관련시켜 설명하시오. (회귀분석식(Y=α+βx+ε; 종속변인=상수+기울기*값+오차)을 기억해야 한다.) 딸과 어머니의 체중을 비교한다고 하자. 평균적으로 평균치 위에 있는 어머니는 자신보다 가벼운 딸을, 평균치 아래 있는 어머니는 자신.. statistics/심리통계학의 기초 200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