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출단서와 점화 Q: 인출단서는 저장된 정보를 연합하고 마음속 정보를 가져오도록 도와주는 외적정보라고 나와있고 점화는 최근의 어떤자극에 노출된 결과로 어떤 자극이 더 잘 생각나게 만드는 능력을 말한다고 했는데 이 둘을 같은 것으로 봐야하는지 아니면 둘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건지 궁금합.. Q n A 2018.12.03
성실성 Q: 빅파이브중에서요. 성실성요소에 왜 조심성이포함되는지 잘이해가안가요. 조심성과 성실성이 무슨연관이있죠? A: 목표를 설정해서 그것을 향해 나아가는 목표지향적 모습을 갖기 위해(성실성) 신중하게 계획을 세워 나아가도록 해야겠지요. 조심성을 신중하게 접근하는 성격으로 이.. Q n A 2018.12.03
드러내기 규칙 Q: 드러내기 규칙중에 차폐와 중성화가 있는데, 이 두가지의 차이가 뭔가요? 그리고 포커카드게임을 할때 자신의 표정을 숨기는것은 중성화에 해당되는 예인가요? A: 차폐는 자신이 느끼는 정서를 다른 정서로 표현하는 것이고, 중성화는 마치 아무 정서를 느끼지 않는 것처럼 무표정한 .. Q n A 2018.12.03
양가애착유형과 불안정애착유형 불안정 애착유형 뜻이 양가 애착유형과 비슷한 것 같아서요. 같은 거 맞나요? 애착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고 있지요.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 그리고, 불안정 애착을 또 다시 불안정 회피애착과 불안정 저항애착으로 나누고 있지요. 여기서 불안정 저항애착은 엄마와 떨어질 때는 물론 .. Q n A 2018.12.03
이런 경우도 완벽주의 성향에서 오는 것인가요? Q: 이번 시간에 완벽주의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들에게는 자신의 삶을 잘 관리하고, 잘 하려는 부분이 있기에, 예기치 않는 갑작스런 상황에 처하게 되면 완벽한 답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움찔하거나 잠시의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그런 상황 자체를 힘들어 할 수도 있나요? 그리고 .. Q n A 2018.12.03
죄수의 딜레마 Q: 죄수의 딜레마에서 갈등원인은 자신에게 더 많은 이득을 올리는 것인가요? 또 죄수의 딜레마와 같은 갈등 구조를 갖는 상황의 예는 어떤것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A: 죄수의 딜레마를 죄수에게 적용하는 이유는 죄수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만들어주어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 Q n A 2018.12.03
처리깊이이론과 정교화와 조직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처리수준이론 (level of processing model) 정보가 처리되는 수준이 깊을수록 기억에 남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주장입니다. 그 수준이 어떤 것을 말하는지(시각, 청각, 의미 수준)는 이미 강의시간에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단기기억.. Q n A 2018.12.03
'부호화 특수성 이론'과 '상태 의존적 기억' 부호화 특수성 이론은 내가 기억을 하려는 학습을 하려는 당시 상황이나 환경이 단서가 되어서 장기기억에서 작업기억(WM)으로 인출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이론입니다. 즉, 장기기억에서 단기기억으로 가는 인출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입력 당시 제공된 단서(환경 등)와 일치하면.. Q n A 2018.12.03
Stanley Schachter(1971)의 이론에 대해서 Stanley Schachter(1971)는 정서적 경험은 생리적 각성과 인지적 평가(cognitive appraisal)의 합작효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생리적 각성 + 그 각성에 대한 인지적 평가’ 이 두 가지가 동시에 결합되어 이요인 이론이라고도 하지요. 즉, 정서경험, 내가 어떤 것을 느꼈다라는 것이 .. Q n A 2018.12.03
공감하고 동감하고 어떻게 틀리나요? 상담자라고 해서 상대방을 무조건 진심으로 꼭 이해해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한 생각은 조금 내려놓는 것도 필요합니다. 상담자이기 때문에 상대방을 무조건 진심으로 대해줘야하겠다라고 해서 '동일시'하는 경우가 생겨납니다. 내담자가 나이고, 내가 내담자인 상태가 벌어집니.. Q n A 2018.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