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요법을 이용한 집단상담 현실요법을 통한 청소년 집단상담 Glasser는 현실요법이 어린이에서 노인 층에 이르기까지 성과 환경 특성을 포함한 모든 계층에 광범위하게 도움을 주는 것은 현실 요법의 적용 가능성을 설명하는 통제 이론이 시대 환경이나 문화적인 요인하고는 무관하게 인간의 생래적인 속성을 근거.. theory/집단상담 2018.12.03
현실치료를 이용한 집단상담 ◑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비결 ◐ 1. 목표 행복해지거나 '자신을 가꾸는 일'은 스스로 해야 할 일이다. 옆에서 도와 줄 수는 있어도 결국엔 자신이 해결해야 한다. 행복하게 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시작되면서 보다 행복해지기 위해서 .. theory/집단상담 2018.12.03
자기표현훈련 자기표현 훈련은 대인관계에서 상대방의 인권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느낌 등을 상대방에게 솔직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자기표현방법을 익힘으로서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초래될 수 있는 스트.. theory/집단상담 2018.12.03
발표불안 감소훈련 발표 불안 감소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수업시간 및 기타 발표 장면에서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발표행동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발표를 아주 못하는 학생을 위한것이니 잘하는 사람은 오지 않도록 한다!!) 1회기(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친밀감 형성) 집단 프로그램의 목적, .. theory/집단상담 2018.12.03
집단상담이란? 1. 집단상담의 성격 <집 단> 집단이란 둘 이상의 사람들이 모여서 규범, 신념 및 가치를 공유하며 서로의 행동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를 가지고 특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상호작용 하는 상태 <집단의 속성> 1)공동목표 2)성원들의 의욕적인 참여 3)신뢰에 의한 성.. theory/집단상담 2018.12.03
Groups in Counseling 다양한 환경에서 근원적인 상담활동(Core Counseling Activities in Various Settings) 집단으로 일한다는 것은 개인들이 개인적이거나 개인 사이의 관심거리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조직되어진 집단들은 생각을 모으고 공유하는 성향뿐만 아니라 협동적으로 일하고 노는 사람들의 자연적인 성향 .. theory/집단상담 2018.12.03
긍정심리학을 이용한 집단상담 회기 개요 1회기 긍정 자원 : 긍정정서, 성격강점 등. 숙제로는 긍정적인 자기 소개서를 써 가지고 온다. 한 쪽 분량으로. 2회기 자기 소개서를 발표한다. 강점을 활용한 이야기를 하도록 하고 숙제로는 강점찾기를 하도록 시킨다. 3회기 성격강점 활용해서 긍정자원 배양. 숙제 : 감사일기 쓰기 4회기.. theory/집단상담 2018.12.03
[스크랩]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들 제가 상담할 때 활용하는 자료입니다 하루 중 가장 많이 먼저 떠오르는 느낌 단어를 생각하게 해서 메모하라고 하시면 됩니다 예) 행복하다 - 배불러서 여행 영화 잠 잘때 쇼핑 행복한 감정이 왜 들었는지를 5가지 이유를 들어 단어를 쓰게합니다 매일 자신의 감정을 체크하다보면 일 주.. theory/집단상담 2013.05.26
집단상담 프로그램 프로그램 운영기간 회기 모집 정원 장소 진행자 참을 忍 세 번이면 병난다 (자기표현훈련) 2009. 12. 21.(월)~2010.1. 8.(금) 월,수,금 10:00~12:00(2시간) 7회기 12명 집단상담실 이 기 선 발표불안감소훈련 2009.12.21.(월)~2010.1.11.(월) 월,수 10:00~12:00(2시간) 7회기 12명 세미나실 김 소 하 굿바이, 게으름 2009.12.22(화)~2010.. theory/집단상담 2011.05.17
기분다스리기 다음 안내를 잘 읽으신 후 신청 부탁드립니다. -상담이 시작되기 전 부득이하게 (수강 변경/타 일정 발생 등의 이유로) 지속적인 집단 상담 참여가 어려운 경우 심리상담실로 연락하셔서 상담을 취소하기 바랍니다. (2일전까지) -집단의 정원이 전부 모집된 경우는 상담실로 방문하셔서 대기신청해주시.. theory/집단상담 2011.05.17